5월 7일 자 「구글 트래픽 비중 31% 돌파…'망 무임승차' 대응은 첩첩산중」 기사
5월 7일자 <서울경제>는 구글 망 사용료 논란에 대해 보도했다. 구글의 국내 통신망 트래픽 비중이 31% 선을 넘어서며 1년 만에 역대 최대치를 재차 경신한 것으로 나타났다. 구글은 국내 통신망에 가장 많은 트래픽 부담을 안기면서도 이를 분담할 수천억 원 규모의 망 이용대가(망사용료)는 한푼도 내지 않고 있다.
트래픽은 통신망을 오가는 데이터의 양이다. 많을수록 통신사의 망 운영과 증설 등 투자 부담도 커진다. 동영상 스트리밍(실시간 재생) 서비스가 본격 성장하며 트래픽이 급증하자 통신사들은 추가적인 망 투자 부담을 ‘원인 제공자’인 구글·넷플릭스 등 콘텐츠제공사업자(CP)가 분담해야 한다고 요구해왔다. 구글은 망사용료 논란에 더해 지난해 납부한 법인세가 240억 원에 그치며 조세 회피 논란을 빚었고 우리 정부에 고정밀 지도 반출 데이터 반출까지 요구하며 업계의 비판이 거세지고 있다.
트래픽 증가에 맞춰 갈등도 심해질 것으로 예상되는 만큼 정부 개입이 시급하다는 게 전문가의 진단이다. 망사용료는 사업자 간 협상으로 정해지는데 국내 통신사는 협상력이 떨어져 협상 자체가 힘들다는 것이다.
이에 대해 신민수 경영학부 교수는 "도이치텔레콤 같은 글로벌 통신사와 달리 지역 통신사인 국내 3사는 협상 테이블에 앉는 것부터가 어렵다"며 "호주의 뉴스미디어협상법처럼 제도가 뒷받침돼야 사적 협상에도 원동력이 생길 수 있다"고 전했다.
관련기사
- [머니투데이] 신민수 교수, '대선주자 AI 공약'에 관해 코멘트
- [전자신문] 신민수 교수, AX 중심의 규제개혁ㆍ산업정책 변화의 필요성 관해 코멘트
- [전자신문] 신민수 교수, 칼럼 ‘글로벌 빅테크의 터무니 없는 이중 잣대’ 기고
- [세계일보] 신민수 교수, 미 빅테크에 대한 망 이용료의 비관세 지정 관해 코멘트
- [경향신문] 신민수 라오스 스포츠토토, 'IT 분야 내 관세 여파'에
- [서울신문] 신민수 토토사이트 블랙티비, '앱테크 품앗이'에
- [서울신문] 신민수 교수, 금융권의 알뜰 통신사업 진입 관해 코멘트
- [SBS] 신민수 교수, '인터넷 은행 기술 경쟁'에 관해 코멘트
- [동아일보] 신민수 교수, 대선 주자들의 인공지능(AI) 육성 공약 관해 코멘트
- [한국일보] 신민수 인생한방 토토사이트, 칼럼 '사이버 공격 급증…충분히 대비돼
- [전자신문] 신민수 교수, '이동통신사 보조금 전쟁'에 관해 코멘트
연관링크
연관링크
정다현 커뮤니케이터
ekgus211@hanyang.ac.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