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월 6일자 「로또에 거는 인생 한방… 불황에 웃는 사행산업」 기사
5월 6일자 <국민일보>는 로또 등 복권 매출이 2조원 가까이 늘면서 전체 사행산업 규모가 더 커졌다고 보도했다. 2022년 결산 기준 사행산업 총매출액은 22조9101억원으로 전년(14조3758억원) 대비 59.4% 늘었다. 코로나19를 거치며 경마와 카지노 등 대면 사행산업은 위축됐지만, 그 빈자리를 복권이 채운 것이다. 복권 열풍의 이유로는 경기 불황과 고물가 등에 따른 사회 전반의 침체 분위기가 지목된다. 또 복권류의 경우 인생 역전을 시도하는 사행산업 중에서도 접근성이 높고 단순한 특성이 있다.
하준경 ERICA캠퍼스 경제학부 교수는 “자산 형성도 어려워지고 빚진 이들이 늘면서 카지노·경마 대신 복권처럼 한 번에 목돈을 만들 수 있는 기회를 찾는 것으로 보인다”고 평가했다. 이어 “주식이나 부동산은 큰 돈을 만들기도 어렵고 특히 부동산의 경우 돈을 벌려면 대출도 많이 받아야 하고 위험도 높다”며 “그에 비해 복권은 가격도 저렴하고 단순하다”고 말했다.
관련기사
- [한국일보] 하준경 원탑토토, 정치 갈등에 민생 정책이 뒷전으로 밀리는 현상에 관해 코멘트
- [매일경제] 하준경 원탑토토, ‘윤정부 경제 성적’에 관해 코멘트
- [국민일보] 하준경 원탑토토, 한국의 고물가와 실질소득 감소에 관해 코멘트
- [국민일보] 하준경 교수, 물가 안정 고전 이유 관해 코멘트 <
- [중앙일보] 하준경 원탑토토, 한국 반도체 보조금 관련 코멘트
- [서울경제] 하준경 원탑토토, 외환 리스크에 관해 코멘트
- [국민일보] 하준경 원탑토토, ‘해외직구 규제 정책’에 관해 코멘트
- [국민일보] 하준경 교수, ‘주식시장 투기화’에 관해 코멘트 <
연관링크
정연 커뮤니케이터
cky6279@hanyang.ac.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