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2월 20일 자 「'영끌성지' 등기 떼보니…2030 주담대, 4050보다 1억 많았다」 기사
12월 20일 자 <중앙일보>는 청년 영끌족 부동산 투자 실태를 확인하고자 서울 강서구 가양 6단지 1개 동(78세대) 등기를 전수 조사한 결과, 20·30대 주택담보대출이 40·50대보다 1억원가량 많았다고 보도했다. 가양 6단지는 당시 돈이 부족한 청년층도 구매할 수 있는 아파트로 꼽히면서 한때 '2030 영끌 성지'로 불렸지만, 올 초엔 고금리 여파로 실거래가가 40%가량 하락했다. 다른 세대보다 청년들이 비싼 값에 더 많은 빚으로 이 아파트 구매한 것은 부모 세대 부동산을 높아진 가격 그대로 청년층이 재구매하면서, 그만큼 빚 부담도 함께 늘어났기 때문이다.
하준경 ERICA 경제학부 교수는 “중·노년층의 부채가 줄면서 동시에 청·장년층의 부채가 늘어나는 모습은 위 세대가 아래 세대에게 주택과 부채를 함께 넘기는 세대 간 자원이전 과정을 보여주고 있을 가능성이 있다”고 말했다.
관련기사
- [동아일보] 하준경 교수, 한국은행 금리 인하 전망에 관해 코멘트
- [한국일보] 하준경 건담 토토사이트, 생산연령인구 감소에 관해
- [국민일보] 하준경 토토사이트 크롤링, 청년 영끌족의 경제적 부담 증가에
- [한겨레] 하준경 교수, 가계 DSR 최고치 경신에 관해 코멘트
- [TV조선] 하준경 교수, 내수부진 관련 코멘트
- [경향신문] 하준경 교수, 금융투자소득세 시행 유예에 관해 코멘트
- [KBS] 하준경 교수, 태영건설의 워크아웃 신청 관련 코멘트
- [경향신문] 하준경 교수, 정부의 2024 경제정책방향에 관해 코멘트
- [채널A] 하준경 카지노 토토, 2024년 경기 전망에 관해
연관링크
연관링크
손성연 커뮤니케이터
annssy@hanyang.ac.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