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월 3일 자 「‘조세정의 묻지마’ 개인투자자 겨냥 총선용 포퓰리즘 정책」 기사
1월 3일 자 <경향신문>은 금융투자소득세 시행 유예에 대해 보도했다. 여야는 2022년 금투세 시행 시기를 2년 유예하기로 했다. 금투세를 도입한 문재인 정부와 달리 윤석열 정부는 금투세 폐지가 국정과제였다. 정치권이나 금융권은 거센 반대 여론을 무마하기 위한 전략적 후퇴일 뿐 결국에는 금투세 폐지를 밀어붙일 것으로 봤다.
정부의 금융정책이 대통령 의중에 따라 급반전을 거듭하면서 정부가 신뢰를 스스로 허물고 있다는 비판이 나온다. 전문가들은 정부가 이처럼 예측 불가능한 방식으로 정책을 추진하면 그 자체로 시장의 예측 가능성을 해치는 행위가 될 수 있다고 지적했다.
하준경 ERICA 경제학부 교수는 “(금투세는) 장기간 논의된 세제였기 때문에 투자자들이 어느 정도 예상하는 방향이 있었는데 충분한 설명 없이 방향을 바꿔버리면 그것만으로 시장에 불확실성을 야기할 수 있다”며 “당장 시급한 문제도 아니기 때문에 좀 더 전문적인 논의를 거쳐 (존폐를) 결정해야 한다”고 말했다.
관련기사
- [동아일보] 하준경 교수, 부동산 PF 부실 위험 관련 코멘트
- [중앙일보] 하준경 교수, 청·장년층 부채 증가에 관해 코멘트
- [매일경제] 하준경 교수, 캐피털사 재정건정성 악화에 관해 코멘트
- [동아일보] 하준경 교수, 한국은행 금리 인하 전망에 관해 코멘트
- [한국일보] 하준경 건담 토토사이트, 생산연령인구 감소에 관해
- [국민일보] 하준경 토토사이트 크롤링, 청년 영끌족의 경제적 부담 증가에
- [KBS] 하준경 교수, 태영건설의 워크아웃 신청 관련 코멘트
- [경향신문] 하준경 교수, 정부의 2024 경제정책방향에 관해 코멘트
- [채널A] 하준경 카지노 토토, 2024년 경기 전망에 관해
- [조선일보] 하준경 토토사이트 승인전화x, 자영업 비중 증가
연관링크
진서연 커뮤니케이터
jinnnzsyhz@hanyang.ac.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