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월 6일 자 「2.5배 레버리지·절세에 감시 사각지대…‘꾼’ 놀이터 된 CFD」 기사

5월 6일 자 <중앙일보>는 SG증권발(發) 주가 폭락 사태가 일파만파 확대되고 있음을 보도했다. 이번 주가 조작 의혹은 지난달 24일부터 선광·하림지주 등 8개 종목 매물이 외국계 증권사 SG증권을 통해 쏟아져 연일 하한가를 기록하면서 불거졌다. 이들 종목 주가는 지난해 4월 이후 강세를 보이면서 지난달 초까지 꾸준히 오르다가 순식간에 폭락했다. 주가 조작 세력이 금융당국의 조사를 의식, 급하게 매물을 던지면서 주가 폭락 사태가 일어났다는 심증이 형성된 배경이다. 특히 주가 조작 경로가 증권사의 차액결제거래(CFD)였던 것으로 알려지면서 핵심 논점으로 떠올랐다.
논란 속에 지난달 25일부터 증권사들은 주가가 폭락한 종목을 신용대출 종목군에서 제외하거나, 이들 종목의 증거금률(증거금으로 주식을 매수할 주체가 보유해야 하는 현금 비중)을 높이는 조치에 나섰다. 투자자들의 추가 피해를 막기 위해서다. 그러나 전문가들은 이런 조치가 미봉책에 불과하다고 지적한다.
이에 이정환 한양대 경제금융학부 교수는 “증거금률을 높인 건 피해 속도를 늦추는 효과는 있겠지만 근본적인 대책일 순 없다”며 “CFD의 구조적 허점을 노려 5년 정도로 길게 잡고 (세력들이) 주가 조작을 할 수도 있기 때문”이라고 지적했다.
관련기사
연관링크
연관링크
이화민 커뮤니케이터
clairdaisi@hanyang.ac.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