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월 9일자, 「그룹 시너지 노림수? 과도한 보수주기?」
9월 9일자 <국민일보>는 대기업 오너 2·3세의 핵심 계열사 임원 겸직에 대해 보도했다. 이에 대해 해당 대기업은 이들이 전략과 투자 경험을 쌓고 경영 결과에 책임을 지는 이사직을 맡으며 책임경영을 시도하는 차원이라고 설명한다. 그러나 과도한 겸직으로 인해 업무 수행에 차질을 빚는다는 지적과 함께 실제 목적은 경영권 승계 자금을 위한 보수 챙겨주기가 아니냐는 비판이 일고 있다.
공정거래위원회에 따르면 지난해 대기업 총수 2·3세는 평균 2.5개 회사의 이사직을 겸직하고 있다. 대기업은 이러한 겸직에 대해 해당 계열사의 빠른 의사결정과 미래 성장 동력 확보 등의 시너지 효과를 강조한다. 그러나 기업의 주요 의사결정을 책임져야 하는 대표이사를 맡으면 임원으로서의 충실한 업무 수행이 어렵다는 반론이 있다.
이창민 경영학부 교수는 “총수 일가가 계열사 여러 곳의 대표를 겸직하는 것은 상장회사라는 개념을 존중하지 않기에 생기는 지극히 한국적인 상황”이라며 “회사 간 이해관계 충돌이 생길 수도 있고 이사가 회사의 이익에 충실할 의무를 규정한 현행 상법 규정을 생각하더라도 겸직은 부적절하다”고 지적했다.
전문가들은 오너 2·3세들이 어쩔 수 없이 겸직하더라도 보수 금액을 최소화하거나 보수 산정 과정을 투명하게 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를 위해 독립적 이사로 구성된 보수위원회의 설치 의무화, 보수 산정 방식과 내역 공시, 주주승인투표 등의 제도 도입의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다.
관련기사
- [한겨레] 이창민 교수, ‘양도제한 조건부 주식(RSU)’에 관해 코멘트
- [국민일보] 이창민 교수, ‘기업 합병 제도’에 관해 코멘트
- [경향신문] 이창민 교수, 두산 밥캣-두산 로보틱스 합병 관해 코멘트
- [경향신문] 이창민 교수, 칼럼 ‘재벌총수는 하고 싶은 거 다 할 것이다’ 기고
- [한겨레] 이창민 교수, 신세계 임원 보수 체계 개편에 관해 코멘트
- [한겨레] 이창민 토토사이트 대공원, 칼럼 ‘국민연금 밸류업지수 투자?…“차리리 행동주의펀드에 맡겨라”’
- [경향신문] 이창민 교수, 칼럼 '권력자는 족쇄를 차야 한다' 기고
- [쿠키뉴스] 이창민 토토사이트 토실장, ‘롯데 비상체제 경영’에 관해 코멘트 < 교원활동
- [경향신문] 이창민 교수, '시총 2,000조 미만 하락'에 관해 코멘트
- [경향신문] 이창민 교수, 칼럼 ‘불신지옥’ 기고
- [한겨레] 이창민 토토사이트 행오버, 임원 보수 결정에 대한 주주 권리 확대에
연관링크
임소빈 커뮤니케이터
lsb031128@hanyang.ac.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