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변화로 2030년 북극의 빙하가 모두 녹으면 지구 북반구에 빙하기가 올 수도 있어..."

한양대학교 해양융합공학과 예상욱 교수가 지난 24일 국립과천과학관이 개최한 '2050 거주불능 지구' 저자 강연에서 "기후변화로 2030년 북극의 빙하가 모두 녹으면 지구 북반구에 빙하기가 올 수도 있습니다."라고 경고했다고 서울경제가 기술했다.
예 교수는 지난해 6월 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주최하고 한국연구재단과 서울경제가 공동 주관하는 '이달의 과학기술인상'을 수상했다. 그리고 지난 20일 영국의 로이터통신이 선정한 '세계 기후변화 분야 과학자 1000명'에도 이름을 올린 세계적인 기후변화 전문가다.
그는 강연에서 "기후변화는 더 이상 자연재해가 아니다"라고 말하며 기후변화로 북극의 빙하가 사라질 경우 갑작스러운 한파가 몰아닥칠 수 있다고 우려했다. 또한 "지구온난화가 계속된다면 2030년 여름에는 북극의 얼음이 완전히 녹아내릴 것"이라며 "일부 학자들은 유럽과 미국 등을 포함한 지구 북반부에 빙하기가 올 가능성이 있다는 분석을 내놓기도 한다"라고 말했다.
실제로 대기 중 이산화탄소 농도는 지난 80만 년 동안 250ppm을 넘지 않았지만 2019년에는 415.26ppm으로 치솟았다. 예 교수는 "지구에서 이산화탄소는 이미 한계치를 넘어선 상황"이라고 지적하며 "인류가 지난 80만 년 동안 한 번도 경험해보지 못한 것을 경험하고 있다"라고 말했다.
우리나라는 지난해 역대 최장 장마를 겪었지만 올해는 굉장히 짧은 장마를 경험하고 있다. 예 교수의 분석에 따르면 이같은 현상은 이산화탄소의 증가가 원인으로 작용한다. 그는 "기온이 올라가면 대기 중 수증기가 많아지면서 물순환의 교란이 나타나게 된다"며 이산화탄소의 증가는 평균 기온의 상승과 지구 순환계의 교란을 동반한다고 설명했다.
올해 지구촌 곳곳에서 발생하고 있는 극심한 열돔 현상도 기후변화에 따른 극한 현상으로 설명된다. 예 교수는 "기후변화로 자연재해의 강도, 지속기간, 빈도가 크게 변화할 수 있다"며 "지난해와 올해 동유럽을 강타한 가뭄과 홍수, 50도가 넘는 북미의 살인적인 무더위 등도 이산화탄소 증가에 따른 이상 현상"이라고 덧붙였다.
그는 "기후변화라는 위기를 기회로 만들기 위해서 우리 모두의 관심과 행동이 무엇보다 중요하다"라고 강조했다.
한편, 예 교수는 해양-대기 상호작용 연구실을 운영 중이며 해양과 대기의 상호작용 과정 연구를 통해 기후변화를 예측하고 해결책을 모색한다. 또한 지난해 6월 ‘이산화탄소(CO2) 증가에 따른 열대 태평양 강수량 증가의 원인 규명’ 연구를 통해 한국연구재단의 ‘이달의 과학기술인상’을 수상한 이력이 있다.
관련기사
- 예상욱 엘클라시코 토토사이트, '세계 기후변화 분야 과학자 1000명'에 선정...국내 과학자 단 12명
- [동아일보] 예상욱 엘클라시코 토토사이트, 북극발 한파에 대한 코멘트
- [매일경제] 예상욱 엘클라시코 토토사이트, 한반도 이상기후에 대한 코멘트
- [한겨레] 예상욱 엘클라시코 토토사이트, 칼럼 「이상기후가 뉴노멀이 된 한반도」기고
- [세계일보] 예상욱 엘클라시코 토토사이트, 기후위기 시대 관련 칼럼 기고
- [세계일보] 예상욱 엘클라시코 토토사이트, 칼럼 '탄소중립 사회와 기후과학’ 기고
- [MBC] 예상욱 교수, ‘극한 호우’에 관해 코멘트 < 교원활동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