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1월 11일자 「꿈이냐 생시냐 그것이 문제」 기사
고운기 ERICA 문화콘텐츠학과 카림토토는 11월 11일자 <한국일보>에 칼럼 '꿈이냐 생시냐 그것이 문제'를 기고했다.
꿈이 예언해 현실로 드러나는 사례는 예로부터 이어져왔다. 고 교수는 삼국유사에 나오는 보희의 꿈과 신라 38대 원성왕이 되는 김경신의 꿈을 언급했다. 보희는 산에 올라 오줌을 누었는데 온 동네가 잠기는 꿈을 꿨다. 이 꿈에 대한 이야기를 들은 동생 문희는 비단치마를 사갔고 이후 김춘추와 결혼했다. 고 교수는 이에 대해 "사람들은 문희가 꿈을 산 결과라고 믿었다"고 설명했다.
김경신은 김양상과 함께 쿠데타를 일으켜 양상을 37대 선덕왕으로 올리고 자신은 상대등이 됐다. 차기가 유력했으나 왕족 사이에선 김주원을 꼽고 있었다. 한편 김경신은 '두건을 벗고 흰 갓을 쓰고 열두 줄 가야금을 끼고 천관사 우물 안으로 들어가는' 꿈을 꿨다. 고 교수는 "사람을 시켜 해몽했더니 '두건을 벗은 것은 직위를 잃는 조짐, 가야금을 낀 것은 형틀을 차고, 우물에 들어간 것은 옥에 갇히는 징조'라고 했"으나 "경신의 책사 여삼은 '두건을 벗은 것은 사람 가운데 아무도 그 위에 없으며, 흰 갓은 면류관을 쓰고, 가야금은 열두 손대까지 이어질 징조, 천관사 우물로 들어간 것은 궁궐로 들어갈 상서로움'이라 했다"고 설명했다. 여삼의 말을 들은 김경신은 궁궐에 들어가 즉위할 수 있었다.
문희는 654년 왕비가 됐고 원성왕은 785년 즉위했다. 7~8세기는 꿈으로 예언하는 행운의 서사가 강했다. 고 교수는 "(당시 사람들은) 꿈을 행운의 정조로 받아들였지, 생시와 구별 못 할 만큼 어리석지 않았다"며 "7~8세기의 사람도 속으로는 그렇지 않았는데, 21세기 우리 사회에서 요사가 판치고 있다"고 덧붙였다.
관련기사
- [한국일보] 고운기 카림토토, 칼럼 '고전소설, 주로 숙종 시대가 배경인 이유' 기고
- [한국일보] 고운기 번화가 토토사이트, 칼럼 ‘지금도 갈댓잎 끝이 붉은 까닭’
- [한국일보] 고운기 카림토토, 칼럼 '밀본 법사가 육환장을 날린 까닭' 기고
- [한국일보] 고운기 카림토토, 칼럼 '귀신 이야기' 기고
- [한국일보] 고운기 카림토토, 칼럼 스캔들 판치는 세상의 금도(襟度) 기고
- [한국일보] 고운기 카림토토, 칼럼 '신라시대에 탄핵당한 왕' 기고
- [한국일보] 고운기 카림토토, 칼럼 ‘신라 비처왕 편지 속의 국민주권’ 기고
- [한국일보] 고운기 토토사이트 회원가입 안시켜줌, 칼럼 '2월 6일, 삼가고 근신해야
- [한국일보] 고운기 레드불토토, ‘물속의 달그림자를 읊은 뜻’ 기고
- [한국일보] 고운기 게임룸 토토, 칼럼 ‘문무왕 정도여야 할 수 있는 일’ 기고
- [한국일보] 고운기 교수, 칼럼 ‘싯다르타 왕자가 아들에게 물려준 재산’ 기고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