타향살이의 쓸쓸함을 제시한 작품 ‘용설란’을 걸작으로 꼽아
유성호 국어국문학과 교수가 박목월 시인의 유작품발간위원회에 참여했다.
‘나그네’ ‘청노루’ 등의 대표작을 남긴 박목월 시인(1915~78)의 장남 박동규 서울대 명예교수는 부친이 남긴 미발표 시 166편을 후배 학자들과 함께 추려 공개했다. 박목월 시인 타계 46년 만이다. 발굴 작업은 박 교수의 제자인 우정권 단국대 교수가 유성호 한양대 교수, 방민호 서울대 교수 등 동료 학자들과 발간위원회를 꾸려 6개월간 기존 출간작과 대조하고 분석했다.
미발표 시는 시인이 등단한 1930년대에서 타계한 1970년대 사이 쓰인 것으로 그의 작품 세계를 총망라한다. 1950년대의 제주를 소재로 한 시들, 1960년대 사람들의 일상적 삶을 노래한 작품, 역사적 격동기였던 해방과 한국전쟁 등에 대해 작고 직전까지 쓴 시편들이 포함됐다. 유 교수는 어눌하게 살아가는 시인 자신과 용설란을 동일시하며 타향살이의 쓸쓸함을 제시한 작품 ‘용설란’을 걸작으로 꼽았다.
박목월유작품발간위원회는 12일 서울 중구 프레스센터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박 교수가 자택에 소장한 노트 62권과 경주 동리목월문학관에 보관된 18권의 노트에 담긴 미발표 시 290편 중 완성도가 높고 주제 의식이 기존과 다른 166편을 추려 공개했다. 발간위는 이번에 공개한 작품을 활용해 전집과 평전을 내고 시낭송회와 뮤지컬화 등을 추진할 계획이다.
관련기사
- [YTN] 유성호 교수, 해외시장 진입을 위한 한국 문학 번역에 관해 코멘트
- [서울신문] 유성호 토토사이트 첫충, 마종기문학상 제정에 관해
- 유성호 교수, 태백산맥문학관 개관 15주년 기념 북 콘서트 참여
- 유성호 프랑스 토토사이트, 소설가 최인호 10주기 '청년문화상' 심사위원장으로
- 유성호 교수, 전화인증없는 토토사이트 평론으로 대한민국 최고 예술인의
- [KBS] 유성호 교수, 목월의 미공개 시에 관해 코멘트
- 유성호 국어국문학과 교수, 공초문학상 시상식 참석
- [서울신문] 유성호 교수, 시문학의 변화 흐름에 관해 코멘트
- [서울신문] 유성호 교수, ‘천양희 시인’에 관해 코멘트
연관링크
연관링크
이채희 커뮤니케이터
codi6756@hanyang.ac.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