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월 22일 자 「불완전판매·횡령…‘시스템 실패’ CEO 책임 묻는다」 페가수스 토토
6월 22일 자 <한국경제TV>는 금융회사의 내부통제 규제 강화에 대해 보도했다. 금융회사의 내부통제 규제가 대폭 강화된다. 현행 법은 금융회사가 내부통제 기준을 마련해야 한다는 의무만 규정돼 있을 뿐, 금융사고가 발생할 경우 누가 책임을 져야 하는지 명시돼 있지 않다. 금융위는 이런 문제를 막기 위해 임원별 내부통제 책임을 사전에 기재하도록 하는 ‘책무구조도’를 도입하기로 했다.
조직적이고 장기간·반복적인 문제가 발생할 경우 '시스템 실패'로 판단해 CEO에게도 책임을 묻기로 했다. 하지만 책임을 면제받을 수 있는 ‘상당한 주의’가 어느 수준인지, CEO가 처벌을 받는 ‘시스템 실패’는 구체적으로 어떤 경우인지를 두고 모호하다는 지적도 제기된다.
하준경 한양대 경제학부 교수는 "시스템의 문제인지, 다른 문제인지 정확하게 구별하기 쉽지 않다”며, “사실상 중요한 의사결정들은 CEO가 많이 내리게 되는데 지금 의사결정에 대한 책임은 밑에 임원들이 지기 쉽게 되어있다”고 말했다.
관련페가수스 토토
- [매일경제] 하준경 교수, 사교육비 비대화에 관해 코멘트
- [중앙일보] 하준경 교수, 2030 청년 세대의 부채 비율에 관해 코멘트
- [동아일보] 하준경 교수, 한미 금리 격차 영향 관해 코멘트
- [경향신문] 하준경 교수, 한국 경제의 저성장 고착화 가능성 관해 코멘트
- [매일경제] 하준경 교수, 사교육비 지출에 대해 코멘트
- [조선일보] 하준경 교수, 한미 금리 격차에 관해 코멘트
- [SBS Biz] 하준경 호날두 토토사이트, 중고차 수출 물량 증가
- [세계일보] 하준경 교수, 경기 둔화 속 추경 필요성 관해 코멘트
- [국민일보] 하준경 교수, 예산 조기 집행에 관해 코멘트
- [경향신문] 하준경 교수, 무역흑자 지속 여부에 관해 코멘트
- [중앙일보] 하준경 교수, 하반기 경기 회복 전망에 관해 코멘트
연관링크
진서연 커뮤니케이터
jinnnzsyhz@hanyang.ac.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