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월 19일 자 「물가 5% 뛸 때 사교육비 10% 급증 … 출산·노후까지 '족쇄'」 기사

6월 19일 자 <매일경제>는 막대한 사교육비 지출에 대해 보도했다. 사교육비 지출은 한국 사회와 경제에 큰 부담을 주며 역대 정권도 개혁 조치에 부심했던 사안이다. 세계 최저 수준으로 추락한 저출산 추세를 더욱 부추길 뿐만 아니라 가처분소득을 감소시켜 국민 노후 대비까지 위협하고 있기 때문이다. 실제로 사교육비는 자녀에 대한 투자의 성격으로 인식돼 다른 지출을 졸라매게 되면서 코로나19 대유행 이후 한국 경제 회복세를 이끌어 온 내수 소비도 위축시키고 있다.
19일 매일경제가 통계청 자료를 분석한 결과 전국 초·중·고교 사교육비 총액은 지난해 26조원을 기록하며 1년 전보다 10.8% 상승했다. 종전 최고인 2021년 기록(23조4000억원)을 갈아치우며 2년 연속 사상 최대치를 기록했다. 특히 사교육비 증가율이 물가상승률의 두 배에 달하는 등 서민 생계를 위협할 정도로 사교육비는 지나치게 많이 올랐다. 지난해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5.1%로 1998년 외환위기(7.5%) 이후 24년 만에 가장 컸지만 사교육비 증가율은 이보다 두 배가 더 높았다.
하준경 한양대 교수는 "사교육도 내수 산업의 일종이기 때문에 사교육시장이 커지면 고용이 늘어나는 등 내수 확대 효과가 일부 있지만 소모적인 경쟁에 투입되는 만큼 부가가치 창출 효과는 작다"고 지적했다. 이어 "가계 입장에서는 사교육비 지출액만큼 노후 대비나 저축, 소비를 줄여야 해 전체적으로 봤을 때 소비 위축 효과가 더 크다"고 지적했다.
관련기사
- [조선일보] 하준경 토토사이트 대도시, 한미 금리 격차에 관해 코멘트
- [SBS] 하준경 토토사이트 대도시, 가계 대출 증가세 관해 코멘트
- [국민일보] 하준경 토토사이트 대도시, 경제정책방향에 대해 코멘트
- [경향신문] 하준경 토토사이트 대도시, 한국 경제의 저성장 고착화 가능성 관해 코멘트
- [동아일보] 하준경 토토사이트 대도시, 한미 금리 격차 영향 관해 코멘트
- [중앙일보] 하준경 토토사이트 대도시, 2030 청년 세대의 부채 비율에 관해 코멘트
- [매일경제] 하준경 토토사이트 대도시, 사교육비 비대화에 관해 코멘트
- [한국경제TV] 하준경 교수, 금융회사의 내부통제 규제 강화에 관해 코멘트 < 교원활동
- [SBS Biz] 하준경 호날두 토토사이트, 중고차 수출 물량 증가 관해 코멘트
- [조선일보] 박주호 교수, 영어 예체능 사교육 열풍에 관해 코멘트 < 교원활동
연관링크
연관링크
이화민 커뮤니케이터
clairdaisi@hanyang.ac.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