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성 로봇의 집단 고속 수상 수영을 통한 와류 제어 및 초소형 물체 군집이송
정수근 토토사이트대 유기나노공학과 위정재 교수팀이 자성 로봇의 집단 행동(collective behavior) 제어를 통해 수천 개의 부유 미세플라스틱을 수집할 수 있는 기술을 개발했다고, 정수근 토토사이트대가 11일 밝혔다.
집단 행동은 자연계의 개미, 물고기, 새의 무리 등에서 흔히 볼 수 있는 현상으로, 다수의 생물체가 협력하여 먹이를 옮기거나 포식자로부터 방어할 수 있다. 로봇 공학에 다중 객체의 집단 행동을 활용하면 단일 객체로는 수행하기 어려운 임무를 완료할 수 있는 이점이 있고, 시간이 상당히 소요되는 일을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위 교수팀은 많은 수의 초소형 물체를 빠르게 이송하기 위해 로봇의 집단 행동 전략을 이용했다. 물체를 하나씩 집어서 원하는 위치까지 이송한 후 내려놓는 그리퍼(gripper) 형태의 로봇은 섬세한 모션 컨트롤이 가능하지만, 수천 개에 달하는 물체를 옮기는 것은 제한적이다. 그리퍼 로봇 대신 위 교수팀은 고속 수영이 가능한 자성 로봇을 개발하였다. 로봇이 위치한 기판 아래에서 평면상의 회전 자기장이 가해질 때, 해당 자성 로봇 집단을 수상에서 빠른 속도로 회전 수영을 하였다. 그 결과, 물 표면에 와류(vortex)를 만들고 생성된 와류 내에 수천 개의 부유 미세플라스틱들을 포집할 수 있는 기술을 구현했다.
회전 자기장 조건을 변경하여 로봇에 가해지는 항력(drag force)보다 관성력(inertia force)을 높인 경우, 자성 로봇 집단의 수영모드를 회전 수영에서 직선 병진 수영으로 전환할 수 있었다. 자성 로봇 집단이 고속으로 직선 병진 수영을 하는 경우, 마이크로입자가 특정 구역으로 들어가는 것을 차단하거나 구역 내로 이송된 마이크로입자를 가둘 수 있었다.
위 교수는 “이번 연구는 미세플라스틱 포집 및 약물 전달, 미세유체(microfluid) 내 와류 제어 등의 응용분야에 적용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고 밝혔다.
이번 연구결과의 논문 “Multimodal Collective Swimming of Magnetically Articulated Modular Nanocomposite Robots (자기적으로 연결된 모듈형 나노복합체 로봇의 다중 모드가 가능한 집단 수영)” 은 국제 저명 학술지 「네이처 커뮤니케이션즈(Nature Communications, IF=17.694)」에 11월 8일자에 게재됐다. 한양대학교 산업과학연구소 및 인하대학교 고분자환경융합공학 전공의 원수경 박사과정 학생과 인하대학교 고분자환경융합공학 전공의 이희은 졸업생이 공동1저자로 참여하였고, 인하대학교 화학공학과 양승재 교수팀과 공동연구로 수행되었다. 또한 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시행하는 기초연구사업(중견연구), 미국공군연구소, 한국과학기술연구원의 지원을 받아 진행되었다.

'정수근 토토사이트위키' 키워드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