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교한 약물 전달로 세포 손상 최소화, 세계적 권위지에 게재

▲김동립 교수(좌), ▲이지환 교수(우)
김동립 기계공학부 교수팀이 이지환 미국 퍼듀대 생체의공학과 교수팀과 함께 세포에 효과적인 약물전달을 할 수 있는 ‘나노니들(Nanoneedle) 패치’를 개발했다고, 지난 11월 13일 토토사이트 포인트사기가 밝혔다.
 
나노니들은 끝 부분이 수십 나노미터(nm)의 작은 주사바늘 형태의 구조물로 주로 신약개발 및 항암치료에 활용된다. 김 교수팀이 개발한 나노니들 패치는 세포에 정교한 약물 전달이 가능해 세포 손상을 최소화하고 세포 내부특성을 연구할 수 있는 길을 열었다는 점에서 의미를 가진다.

 
▲(실리콘 나노니들 유연패치) 실리콘 나노니들(nanoneedle)이 유연한 탄소중합체(elastomer) 패치에 집적화되어 있다.
 
▲(실시간 세포활동 모니터링) 아무런 처리가 되지 않은 세포가 유연패치 상의 나노니들과 상호작용을 하면서 거동하고 있다.

기존 나노니들은 색상이 불투명하고 딱딱한 실리콘 기판에 형성돼 세포 내부특성을 실시간으로 파악할 수 없고 세포에 정교한 약물전달이 되지 않아 세포 손상을 일으킨다는 단점이 있었다. 김 교수팀은 이번 연구에서 실리콘 나노니들 집합체를 반유연한 탄성중합체(elastomer) 패치에 집적시키는데 성공해 이러한 문제를 해결했다. 또 해당 나노니들 패치는 색이 투명해 형광물질 투여 없이 세포를 실시간으로 관찰할 수 있다는 장점을 가진다.
 
김 교수는 “이번 연구는 나노기술(NT)과 바이오기술(BT)을 융합함으로써 세포단위의 약물전달 및 모니터링이 가능한 플랫폼 개발을 통해 미래 의약 및 건강 기술발전에 기여했다는 점에서 가치가 높다”고 말했다.
 
이번 연구결과는 사이언스(Science) 자매지인 「사이언스 어드밴시스(Science Advances)」에 게재돼 9일 출간됐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시행하는 한-미 공군과학연구실 공동연구지원사업, 글로벌프런티어사업(지능형바이오시스템설계및합성연구단), 기초연구사업(신진연구)이 이번 연구를 지원했다. 장한민·이흥수 석박사통합과정(토토사이트 포인트사기)이 공동1저자·참여저자로 이번 연구에 참여했다.


 
저작권자 © 토토사이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