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월 12일 자 「국가 부채 비율 54.5%… 非기축통화국 평균 처음 넘을 듯」 기사
5월 12일 자 <조선일보>는 우리나라 국가 부채 비율에 대해 보도했다. 우리나라의 국가 부채 비율이 올해 말 처음으로 노르웨이·뉴질랜드 등 기축통화를 쓰지 않는 선진 11국의 평균을 넘어설 것이라고 국제통화기금(IMF)이 전망했다. 국가 부채 비율이 빠른 속도로 악화되는 이유는 코로나 위기 대응을 위한 재정 지출이 불어난 가운데, 전 세계에서 유례를 찾기 힘든 빠른 속도의 고령화로 복지 지출이 급증했기 때문이다.
올해 말 전망치 기준 한국보다 부채 비율이 높은 나라는 싱가포르, 이스라엘, 뉴질랜드 등 3국뿐이다. 그런데 우리나라의 상황은 싱가포르·이스라엘보다 심각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싱가포르는 싱가포르 투자공사 등의 투자를 위한 채권 발행이 회계상 부채로 잡혔기 때문이며, 이스라엘은 하마스 전쟁 관련 지출 증가라는 특수한 원인을 가졌기 때문이다.
이정환 경제금융학부 교수는 “정부 부채 위기가 기업 부채 위기와 결합될 경우 대외 신인도에 심각한 악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했다.
관련기사
- [한국일보] 하준경 교수, 한국 가계부채 비중에 관해 코멘트
- [서울경제] 전영준 교수, ‘정부 부채 비율’에 관해 코멘트
- [서울경제] 전영준 교수, 한국 장기재정건정성 지표에 관해 코멘트
- [중앙일보] 이정환 토토사이트 잘못환전, 자영업 부채 상황에
- [YTN] 이정환 수많은 스포츠토토 사이트, 금리상승
- [TV조선] 이정환 교수, 국내 내수 부진에 관해 코멘트
- [한국일보] 이정환 달맞이 토토사이트, 칼럼 '대선 후보 AI공약, 언제까지 '한국형 챗GPT' 타령만 할
- [한국일보] 이정환 해외 토토사이트 순의, 칼럼 ‘초고령사회 한국에서 현금성 재정지출이 '독'인
연관링크
진서연 커뮤니케이터
jinnnzsyhz@hanyang.ac.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