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월 5일 자 「규제 유예가 빚은 ‘수요 없는 공급’, 지역 활기까지 무너뜨렸다」 기사
2월 5일 자 <경향신문>은 대구시의 미분양 주택 현황에 대해 보도했다. 지난해 12월 대구 미분양 주택은 1만 245가구로, 수도권 전체 미분양 물량(1만 135가구)을 합친 것보다도 많다. 업계에서는 과잉공급이 가속화된 배경으로 대구시의 용적률 규제 도입 지연을 꼽았으며, 전문가들은 과잉공급된 물량이 시장에서 소화되기까지 짧게는 2~3년, 길게는 5년이 걸릴 것으로 내다봤다. 시장을 살려 최악은 피해야 한다는 현장 목소리와, 이번 기회에 제대로 된 구조조정이 불가피하다는 의견이 맞서고 있다.
이창무 도시공학과 교수는 “건설과 입주가 지역 전체의 소비로 이어지는 효과가 큰 만큼, 전반적인 경기 침체로 이어질 가능성이 큰 상황”이라고 진단했다.
관련기사
- [매일경제] 이창무 교수, 그린벨트 해제에 관해 코멘트
- [동아일보] 이창무 교수, 청년 주택드림 청약통장 관련 코멘트
- [연합토토사이트 포인트사기TV] 이창무 교수, 대구권 광역철도 연말 개통에 관해 코멘트 < 교원활동
- [조선일보] 이창무 교수, 신규 주택 유형에 관해 코멘트
- [중앙일보] 이창무 on game 토토사이트, 지방 그린벨트 규제
- [SBS Biz] 이창무 교수, 그린벨트 해제 효과에 관해 코멘트
- [동아일보] 이창무 교수, 전세사기 피해 예방책에 관해 코멘트
- [한국경제] 이창무 sky 토토사이트, ‘토지거래허가제’에
- [동아일보] 이창무 전화인증없는 토토사이트, LH 미분양 매입 방식의 한계에
연관링크
손성연 커뮤니케이터
annssy@hanyang.ac.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