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월 7일자 「대선후보들 ‘코로나 보상’ 최우선…경제참모가 본 잠재 리스크는? 」 기사
3월 7일자 <한겨레>는 주요 대선 후보들의 집권 초반 국정 운영 계획에 대하여 보도했다.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후보는 지난 4일 자신의 페이스북에 “그동안 방역 조치에 협조해 주신 우리 소상공인·자영업자분들의 희생에 대해 신속한 지원과 보상이 제일 과제”라고 언급하며 코로나19 관련 사전 보상 방식의 손실 보상 제도 마련, 임대료·인건비 등 고정비 상환 감면 대출 제도(한국형 PPP) 도입, 소상공인·자영업자 신용 회복 등을 주요 공약으로 내세웠다. 윤석열 국민의힘 후보도 50조원 이상의 소상공인·자영업자 손실 보상과 함께 긴급 구제식 채무 재조정 등 긴급 구조 플랜 가동, 대통령 직속 코로나 긴급 구조 특별 본부 설치, 임대료 나눔제 시행 등을 공약했다.
또한 국내 경제의 가장 큰 현안인 에너지 가격 급등이나 물가 상승 대응 등에 관해서 이 후보는 공약집에서 글로벌 공급망 안정을 위한 통합 컨트롤타워 구축, 대응 전략 마련 등을 약속했다. 윤 후보 역시 핵심 원료와 부품 공급망 안정적 확보라는 내용을 공약집에 포함했다.
한양대학교 ERICA캠퍼스 경제학부 하준경 교수는 “세계 경제의 인플레이션(물가의 기조적 상승)과 코로나19 수습 및 회복이 제일 중요 현안”이라면서도 “부동산 등 자산 시장 불확실성과 가계부채 건전성 관리, 우크라이나 사태가 세계 공급망과 원자재 가격, 우리 기업의 수출 등에 미칠 영향도 이슈가 될 수 있을 것”이라고 짚었다.
관련기사
연관링크
양나래 커뮤니케이터
nrhope@naver.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