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월 14일자 '일상 속 치매 예방하려면… ‘진인사대천명’ 지켜라!' 기사
알츠하이머는 뇌 세포 노화로 생기는데 전체 치매의 71.5%로 매우 비중이 높습니다. 알츠하이머에는 많은 원인이 있으나 근보적인 치료제는 아직 개발되지 않았습니다. 현재 치매 원인물질(베타 아밀로이드) 생성을 억제하고 이미 만들어진 원인 물질을 제거하는 방법(알츠하이머 백신 주사, 아밀로이드 단백에 대한 항체 주사)이 연구 중이라고 합니다. 김희진 의학과 교수는 "항체 주사는 연구가 중단된 백신 주사보다 안전해 여러 치료제가 3상 임상을 진행 중이라 조만간 결과를 알 수 있을 것"이라고 했습니다.
최호진 의학과 교수는 이번 기사에서 치매와 인지 장애의 차이에 대해 설명했습니다. 최 교수는 "나이가 들수록 기억력 등 인지 기능이 떨어지는 것은 어쩔 수 없지만 그렇다고 모두 치매는 아니다"라며 "인지 기능에 문제가 있으면 진단을 받아 정확한 병을 확인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했습니다.
환자가 보호자에게 이해와 지지를 받는다고 느끼는 것은 치매 단계와 관계 없이 매우 중요하다고 합니다. 인간은 인지기능이 발달하기 전부터 본능적으로 감정을 느끼기 때문입니다. 김승현 의학과 교수는 이에 대하여 "치매 환자와 감정적인 교류를 하지 않고는 환자를 적절히 관리할 수 없다"며 "비정상적인 행동을 하는 치매환자에게 '당신 편입니다. 당신을 이해하고 지지합니다'라는 감정적 믿음을 갖고 대처하는 게 중요하다"고 말했습니다.
<기사 링크>
https://www.hankookilbo.com/News/Read/202001111558084409
관련기사
한양브리핑
prhyu@hanyang.ac.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