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숙사 신축 시 인근 원룸 공실 우려해 ‘성동한양 상생학사’ 도입
지역 주민과 상생으로 갈등 해결, 기숙사 신축으로 학생의 주거비 부담 덜어
한양대 서울캠퍼스 인근 소형 주택 월세가 하향 안정세를 나타내고 있다. 성동구에 따르면 한양대 서울캠퍼스 인근 소형(33㎡ 이하) 임대주택의 2025년 1월 월세는 55만 4천 원으로 전년 동월 58만 3천 원 대비 5% 떨어졌다. 서울시 주요 대학가 원룸 평균 월세가 전년 대비 6.1% 상승한 것에 비교하면 괄목할 만한 수치다.
월세의 하락 안정세는 지난 1일 개관한 제6·7학생생활관 신축의 영향이 크다. 한양대 기숙사의 정원은 제6·7학생생활관 신축 후 기존 2184명에서 3382명으로 대폭 증가해, 인근 원룸 수요를 분산 했다는 분석이다.
제6·7학생생활관 신축은 계획 당시 많은 어려움이 있었다. 지난 2015년 한양대는 낮은 기숙사 수용률로 학생들의 주거비 부담이 심화되자 제6·7학생생활관 신축을 계획했다. 계획안을 발표하자 인근 원룸임대업자의 극렬한 반발에 부딪혔다. 당시 학생들도 기숙사 신축을 위해 목소리를 높이며 갈등은 깊어졌다.
한양대와 성동구는 갈등을 상생으로 승화했다. 임대업을 영위하는 지역 주민과 소통 끝에 공실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성동한양 상생학사’를 2019년 3월 도입했다. 성동한양 생생학사(이하 상생학사)는 LH(한국토지주택공사)의 주택도시기금을 활용해 상생학사 보증금 중 2900만 원을 연 1%의 낮은 금리로 대출해주고, 성동구와 한양대는 매달 15만원의 주거비를 절반씩 부담하는 정책이다.
상생학사로 학생들은 보증금 100만 원과 월 임차료 20~30만 원, 관리비 등만 납부해 주거비 부담을 줄일 수 있다. 상생학사로 임대인은 공실 문제를 덜고, 학생들은 상대적으로 저렴한 비용을 지불해 주거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것이다.

한양대는 상생학사를 도입 후 2021년 제6·7학생생활관 착공에 들어갔다. 성동구와 한양대가 기숙사 건립 반대를 외치던 지역 주민과 상생해 해결책을 모색한 결과다. 비슷한 시기 주민 반대에 기숙사 신축이 좌절됐던 것이 타 지역과 대비된다.
상생학사는 지역주민과 갈등을 상생으로 승화시킨 혁신적 모델로 평가받고 있다. 상생학사는 현재 4호점(48실)을 운영 중이며, 제6·7학생생활관 신축으로 발생할 수 있는 추가 공실을 방지하기 위해 상생학사를 추가로 지정·운영할 계획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