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월 7일 자 「한국 가계부채, 전세보증금 포함땐 3000조 육박… OECD 1위」 기사
3월 7일 자 <동아일보>는 전세보증금을 반영한 한국의 가계부채에 대해 보도했다. 국제 통계에 잡히지 않는 전세보증금을 반영하면 지난해 한국의 가계부채는 3,000조 원에 육박한다. 전세보증금을 반영한 GDP 대비 가계부채 비율과 가처분소득 대비 가계부채 비율 모두 OECD 국가 중 1위를 기록했다.
한국경제연구원은 2020~2021년 사이 ‘임대차 3법’ 시행과 집값 급등으로 전세보증금이 올랐고 코로나19 유행으로 생계비 등 대출이 증가한 탓에 가계부채가 확대됐다고 분석했다. 또한 전문가들은 한국의 높은 주택 보유 성향을 이러한 현상의 주된 이유로 꼽았다.
이창무 한양대 도시공학과 교수는 “요즘처럼 전셋값이 떨어지고 부동산 시장이 침체한 시기에는 집주인이 세입자에게 보증금을 돌려줄 수 없어 추가로 대출을 끌어와 메워야 하는 상황이 생긴다”며 “그만큼 눈에 보이지 않는 비제도권 대출이 많다는 뜻인데 이렇게 부채를 돌려막다 보면 개인의 부도 문제로 이어지고 국가 경제에는 리스크가 된다”고 설명했다.
관련기사
- [SBS Biz] 이창무 교수, 패널 출연… 부동산 매매 심리 관해 인터뷰
- [중앙일보] 이창무 더블유 토토, 전·월세 수요에 관해
- [매일경제] 이창무 토토사이트 무소유, 판교 호텔 용지 ‘5단계 종상향’
- [동아일보] 이창무 토토사이트 설탕, 세입자 신청 경매 증가 상황에 대해
- [매일경제] 이창무 토토사이트 토스 입금, 칼럼 ‘더 완화되어야 할 보유세
- [동아일보] 이창무 교수, LH의 임대해외 토토사이트 운영 매입가 인하에
- [한겨례] 이창무 히어로토토, 서울시의 수상버스 도입에 대해 코멘트
- [신문 읽어주는 토토사이트 황토님] 불거진 전세 사기, 앞으로의
연관링크
진서연 커뮤니케이터
jinnnzsyhz@hanyang.ac.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