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월 13일자「"반도체 일본 꼴 날 수도…수도권 대학 반도체학과 정원 풀어야"」기사
3월 13일자 <매일경제>는 국내 반도체 산업 현황에 대해 보도했다. 과거 정부는 규제 완화·인센티브 강화를 내걸고 ‘리쇼어링(Reshoring·생산기지 국내 복귀)’을 촉진해왔다. 하지만 입지·환경 규제, 대기업에 차별적인 보조금·고용창출장려금 지원 등의 영향으로 성과를 못 냈다. 전문가들은 한국 반도체 산업의 국가 경쟁력 확보와 인력난 해소를 위해 적극적인 규제 개혁과 정책 지원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한양대학교 융합전자공학부 박재근 교수는 "대통령이 직접 컨트롤타워가 돼서 반도체 산업의 국가 경쟁력을 확보해야 한다"라고 강조했다.
한양대학교 신소재공학부 안진호 교수는 "한국에서 몇 년 걸릴 일을 미국에선 3개월 안에 해결한다"라며 "정부가 나서서 적극적으로 규제를 풀고, 주민 반대로 공장 건설이 지연되면 정책적으로 풀어 나가야 한다"라고 말했다.
관련기사
- [서울경제] 박재근 달맞이 토토사이트, 국내 반도체 산업 육성 현황에 대해 코멘트
- [헤럴드경제] 박재근 달맞이 토토사이트, 반도체 기업 인수합병에 관해 코멘트
- [서울경제] 박재근 달맞이 토토사이트, 반도체 산업 촉진 위한 반도체 특별법 관련 코멘트
- [머니투데이] 박재근 달맞이 토토사이트, 세계 최대 반도체 냉각수 공장 중단 상황에 관해 코멘트
- [서울경제] 박재근·하성규 교수, 한국의 초격차 전략기술에 관해 코멘트 < 교원활동
- [헤럴드경제] 박재근 달맞이 토토사이트, 국가전략기술 시설투자 세액공제 확대에 대해 코멘트
- [한국경제] 박재근 달맞이 토토사이트, 반도체 민관합동위원회 설치에 관해 코멘트
- [한국경제] 박재근 달맞이 토토사이트, 칼럼 「반도체, 한•미동맹의 '린치핀' 돼야」 기고
- [서울경제] 안진호 교수, 일본의 반도체·디스플레이 소재 한국 수출 규제 해제에 관해 코멘트 < 교원활동
연관링크
이해울 커뮤니케이터
ul6258@hanyang.ac.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