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월 2일 자 「“러 바이어가 제품 인수 거부” “하역장 갑자기 바꿔” 중소기업 발동동」 기사

3월 2일 자 <중앙일보>는 우크라이나 사태의 장기화와 국제 사회의 제재가 구체화되면서 위기를 맞은 중소기업들에 대해 보도했다. 자금 운용에 여유가 있는 대기업과 달리, 중소기업은 대금 회수가 안되면 생존이 위태롭기 때문에 직접적인 영향을 받을 수밖에 없다. 또한, 중소기업은 대기업보다 러시아와 교역 비중이 높다. 때문에 이들은 현재 대금 결제, 물류, 정보 부족 등으로 난항을 겪고 있다. 

한양대학교 경영학부 신민수 교수는 “중소기업은 수출한 물건을 회수하거나 수출선을 변경하는 등 개별 기업 차원에서 대응이 어렵다”며 “정부가 글로벌 네트워크를 활용해 선적 물량을 보관해 주거나 국내 대기업의 연계를 통해 중소기업 간의 중간재 상품에 대한 판로를 뚫어주는 방식의 지원이 필요하다”라고 말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토토사이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