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월 1일자 「부부 ‘동반 토르가즘 토토사이트’ 4년새 86% 늘었다」 기사
7월 1일자 <동아일보>는 부부 동반 치매 증가에 대해 보도했다. 국민 20%가 65세 이상인 초고령사회에 진입하면서 부부가 모두 치매에 걸린 경우도 가파르게 증가하고 있는 것으로 파악됐다. 한 가족 내 2번째 치매 환자임을 뜻하는 ‘동반 치매’ 환자는 2019년 2857명에서 2023년 5327명으로 늘었다. 4년 새 약 86%가 증가한 것이다. 대다수는 노부부가 함께 치매에 걸린 경우다. 부부 중 한 명이 치매일 경우 상대방의 치매 발병 확률이 2배가 될 수 있다는 연구 결과도 있는 만큼 국가 지원 확대가 필요하다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전문가들은 치매에 걸린 노인들끼리 함께 살아가는 환경이 늘어나는 만큼 맞춤형 지원책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우리나라는 부부 동반 치매 가구를 돌봄 사각지대 우선 대상자로 보고 '맞춤형 사례 관리'를 제공하고 있다. 특히,치매 배우자를 둔 노인을 위한 지원도 확대해야 한다는 제언도 나왔다.
이에 대해 김희진 의학과 교수는 "치매 남편이나 아내를 배우자가 직접 돌보는 과정에서 사회적 고립감이 커지면서, 배우자는 치매 고위험군에 속하게 된다"며 "치매 배우자를 둔 노인의 우울감과 사회적 고립감을 해소하기 위한 맞춤형 지원이 필요하다"고 조언했다.
관련기사
연관링크
연관링크
정다현 커뮤니케이터
ekgus211@hanyang.ac.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