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21명의 교수가 산학협력단이 선정한 2025년 10월 1~3주차 우수논문 저자로 이름을 올렸다. 이번에 선정된 교수는 강민구 기술경영전문대학원 기술경영학과 머스트잇 토토, 권대웅 융합전자공학부 머스트잇 토토, 권일한 자원환경공학과 머스트잇 토토, 김경학 화학공학과 교수, 김종오 건설환경공학과 머스트잇 토토, 김현준 데이터사이언스전공 머스트잇 토토, 박기호 화학공학과 머스트잇 토토, 배지현 의류학과 머스트잇 토토, 서정길 화학공학과 머스트잇 토토, 송재욱 산업공학과 머스트잇 토토, 신학승 관광학부 머스트잇 토토, 안지선 경영학부 머스트잇 토토, 안진호 신소재공학부 머스트잇 토토, 이준석 화학과 교수, 전대원 의과대학 내과학교실 교수, 전병훈 자원환경공학과 머스트잇 토토, 차치환 의과대학 외과학교실 교수, 최효성 화학과 교수, 허준호 의과대학 유전학교실 교수, 현성협 관광학부 머스트잇 토토, 황환식 의과대학 가정의학교실 교수다. (교수명 가나다순)
강민구 기술경영전문대학원 기술경영학과 머스트잇 토토 - Knowledge absorption from customers and its interplay with supplier adaptability for better operational and innovation performance (고객 지식 흡수와 공급업체 적응성의 상호작용이 운영 및 혁신 성과에 미치는 영향)
강민구 기술경영전문대학원 기술경영학과 교수의 논문이 SSCI급 국제 학술지 『Journal of Manufacturing Technology Management』(2024년 기준 IF 6.0)에 게재됐다. 연구팀은 제조기업이 고객으로부터 지식을 흡수하고, 동시에 공급업체의 적응성을 높이는 것이 운영성과와 혁신성과 향상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점을 규명했다. 특히 두 요인의 상호작용이 외부 지식의 통합과 활용을 촉진해 기업이 보다 효과적으로 경쟁력을 유지하도록 돕는다는 점을 실증적으로 제시했다.
권대웅 융합전자공학부 머스트잇 토토 - Physical Reservoir Computing System via Hybrid Ferroelectric-Ionic Transistors (하이브리드 강유전체-이온 트랜지스터 기반 물리적 저장소 컴퓨팅 시스템)
권대웅 융합전자공학부 머스트잇 토토의 논문이 SCI-E급 국제 학술지 『ADVANCED MATERIALS』(2024년 기준 IF 26.8)에 게재됐다. 연구팀은 강유전체와 이온 트랜지스터를 결합한 하이브리드 소자를 활용해 물리적 저장소 컴퓨팅(PRC) 시스템을 구현했다. 제안된 시스템은 장기 분극 전환과 단기 이온 스위칭 기능을 모두 통합해 고집적 반도체 공정과의 호환성을 확보했으며, 뇌파·심전도 등 다중 생체신호를 효율적으로 처리할 수 있음을 입증했다. 이번 연구는 에너지 효율적 신경망 구현을 위한 차세대 하드웨어 기반 AI 응용의 가능성을 제시했다.
권일한 자원환경공학과 머스트잇 토토 - Sustainable hydrogen production through catalytic pyrolysis of lignocellulosic biomass using carbon dioxide (이산화탄소를 활용한 목질계 바이오매스의 촉매 열분해 기반 지속가능한 수소 생산 연구)
권일한 자원환경공학과 머스트잇 토토의 논문이 SCI-E급 국제 학술지 『ENERGY CONVERSION AND MANAGEMENT』(2024년 기준 IF 10.9)에 게재됐다. 연구팀은 이산화탄소를 반응가스로 주입한 촉매 열분해 공정을 통해 목질계 바이오매스, 특히 들깨줄기(perilla straw)로부터의 지속가능한 수소 생산 방안을 제시했다. 코발트·철·니켈 기반 촉매의 존재하에서 열분해 반응을 조절함으로써 일산화탄소 생성이 촉진되었으며, 이를 수증기 개질 반응에 적용해 수소와 합성가스를 효율적으로 생산할 수 있음을 확인했다. 본 연구는 공정 과정에서 발생하는 탄소 배출을 저감하면서 수소 생산 효율을 높이는 새로운 접근법을 제시했다.
김경학 화학공학과·최효성 화학과 교수 - Defect Localized Mechanoluminescence Model in Copper Doped Zinc Sulfide (구리 도핑 아연 황화물에서의 결함 국소화 기계발광 모델 연구)
김경학 화학공학과 교수와 최효성 화학과 교수의 논문이 SCI-E급 국제 학술지 『ACS Nano』(2024년 기준 IF 16.1)에 게재됐다. 연구팀은 구리가 도핑된 아연 황화물(Cu-doped ZnS) 미세입자의 기계발광 거동을 규명하고, 변형에 따른 국소적 결함 발광 메커니즘을 제시했다. 외부 응력에 의해 결함 부위에서 전하 이동이 발생하며 발광이 유도된다는 점을 규명했으며, 이를 통해 차세대 광전자 소재 설계의 방향을 제시했다.
김종오 건설환경공학과 교수 - Performance evaluation of ceramic and polymeric membrane application in hybrid system (membranes+O₃/UV) for pharmaceutical and personal care products (PPCPs) removal from hospital wastewater (병원 폐수 내 의약품 및 개인위생용품 제거를 위한 하이브리드 막 시스템 성능 평가)
김종오 건설환경공학과 머스트잇 토토의 논문이 SCI-E급 국제 학술지 『JOURNAL OF HAZARDOUS MATERIALS』(2024년 기준 IF 11.3)에 게재됐다. 연구팀은 막 여과와 오존 산화를 결합한 하이브리드 시스템을 활용해 병원 폐수 내 의약품 및 개인위생용품(PPCPs)을 효율적으로 제거하는 방안을 제시했다. 생물학적 처리수를 활용한 공정이 반응 속도와 막 성능 면에서 더 효과적임을 확인했으며, 막의 소수성 증가가 오염물 부착과 유량 감소에 영향을 미친다는 점을 분석했다. 또한 PAN과 α-Al₂O₃ 막을 적용한 결과, 총유기탄소(TOC)가 각각 77.87%, 74.13% 감소했으며, 생성된 부산물이 독성을 유발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김현준 데이터사이언스전공 머스트잇 토토 - Learning to extract and aggregate contexts for link prediction in heterogeneous graphs (이종 그래프에서 링크 예측을 위한 문맥 추출 및 집계 학습 연구)
김현준 데이터사이언스전공 머스트잇 토토의 논문이 SCI-E급 국제 학술지 『KNOWLEDGE-BASED SYSTEMS』(2024년 기준 IF 7.6)에 게재됐다. 연구팀은 이종 그래프에서의 링크 예측 정확도를 높이기 위해 새로운 프레임워크 LEACH를 제안했다. 이 모델은 노드 간 관계를 기반으로 유효한 문맥 노드를 추출하고, 이를 통합해 보다 정교한 그래프 표현을 생성한다. 실험 결과, 제안된 모델이 기존 접근법보다 다양한 그래프 데이터셋에서 우수한 성능을 보이는 것으로 확인됐다.
박기호 화학공학과 머스트잇 토토 - Practical implementation and challenges of current batch-type RO systems and future potential: A review (현재 배치형 역삼투 시스템의 적용과 한계, 그리고 향후 가능성에 대한 고찰)
박기호 화학공학과 머스트잇 토토의 논문이 SCI-E급 국제 학술지 『DESALINATION』(2024년 기준 IF 9.8)에 게재됐다. 연구팀은 해수 담수화 공정의 효율성을 높이기 위한 배치형 역삼투(RO) 시스템의 설계 및 운영 방안을 종합적으로 검토했다. 기존 연구를 바탕으로 다양한 배치형 RO 구성의 장단점을 분석하고, 에너지 절감과 운전 효율 향상을 위한 최적 기술 적용 방향을 제시했다. 이번 논문은 향후 담수화 기술의 지속가능한 발전을 위한 체계적 기준을 마련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배지현 의류학과 머스트잇 토토 - 2D intercalated charge confinement and surface modification in a montmorillonite-based composite for an anti-bacterial and biodegradable self-powered sensor (항균성과 생분해성을 갖춘 자가발전 센서를 위한 2차원 층간 전하 구속 및 표면 개질 연구)
배지현 의류학과 머스트잇 토토의 논문이 SCI-E급 국제 학술지 『CHEMICAL ENGINEERING JOURNAL』(2024년 기준 IF 13.2)에 게재됐다. 연구팀은 2차원 점토광물인 몬모릴로나이트(MMT)를 기반으로 한 복합소재의 층간 전하 구속 구조와 표면 개질을 통해 자가발전 센서의 성능을 향상시키는 방법을 제시했다. 개질된 구조는 전하 이동 효율을 높이고, 생분해성 고분자와 결합해 에너지 변환 효율을 개선했다. 또한 불소 처리로 항균성과 내수성을 동시에 확보해 웨어러블 센서로의 응용 가능성을 입증했다.
서정길 화학공학과 머스트잇 토토 - Galvanostatic deposition of lithiophilic nanosized LixSn nucleation sides and inorganic-rich@polymer dual layer for anode-free lithium metal batteries (무음극 리튬 금속전지를 위한 리튬친화성 나노 LixSn 핵생성면 및 무기물-고분자 이중층 전극 형성 연구)
서정길 화학공학과 머스트잇 토토의 논문이 SCI-E급 국제 학술지 『JOURNAL OF ENERGY CHEMISTRY』(2024년 기준 IF 14.9)에 게재됐다. 연구팀은 구리 집전체 위에 리튬친화성 나노 입자와 무기물-고분자 이중층을 형성해 무음극 리튬 금속전지의 안정성과 효율을 높이는 방법을 제시했다. 이 구조는 리튬의 균일한 도금과 박리를 유도해 충·방전 안정성을 크게 향상시켰으며, 친환경적이면서도 대량 생산이 가능한 전극 제조 방식을 제안했다.
송재욱 산업공학과 머스트잇 토토 - HGAIT: heterogeneous graph attention with inverted transformers for correlation-aware stock return prediction (상관관계 인지형 주가 예측을 위한 이종 그래프 기반 인버티드 트랜스포머 모델 연구)
송재욱 산업공학과 머스트잇 토토의 논문이 SCI-E급 국제 학술지 『EXPERT SYSTEMS WITH APPLICATIONS』(2024년 기준 IF 7.5)에 게재됐다. 연구팀은 인버티드 트랜스포머와 그래프 신경망을 결합한 주가 예측 모델 ‘HGAIT’를 개발했다. 이 모델은 변수 간 상관관계를 반영해 금융 데이터의 복잡한 구조를 정교하게 분석하며, 기존 예측 기법보다 높은 안정성과 정확도를 보였다. 연구 결과는 실제 금융 의사결정과 포트폴리오 관리에 활용될 수 있는 잠재력을 확인했다.
신학승 관광학부 머스트잇 토토 - Analyzing the marketing impacts of metaverse travels: the role of travel experience, destination attitude, perceived quality, and avatar image identification (메타버스 여행의 마케팅 효과 분석: 여행 경험, 태도, 인식 품질, 아바타 동일시의 역할)
신학승 관광학부 머스트잇 토토의 논문이 SSCI급 국제 학술지 『Journal of Travel & Tourism Marketing』(2024년 기준 IF 9.0)에 게재됐다. 연구팀은 메타버스 여행이 이용자의 태도와 구매 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했다. 감정적·감각적·사회적 경험 요소 중 대부분이 긍정적 마케팅 효과를 보였으며, 특히 아바타에 대한 동일시 수준이 높을수록 홍보 효과가 커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번 연구는 메타버스 환경에서 여행 마케팅 효과를 실증적으로 규명한 초기 연구 중 하나다.
안지선 경영학부 머스트잇 토토 - Understanding the role of integrated channel service attributes in restaurant customer empowerment (레스토랑 고객 권한강화에 있어 통합 채널 서비스 속성의 역할 분석)
안지선 경영학부 머스트잇 토토의 논문이 SSCI급 국제 학술지 『Journal of Hospitality and Tourism Technology』(2024년 기준 IF 6.9)에 게재됐다. 연구팀은 외식 산업에서 셀프서비스 기술(SST)이 고객의 자율성과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했다. 분석 결과, 고객 서비스와 정보 서비스가 통합된 환경일수록 고객이 느끼는 통제감이 높아져 만족도와 신뢰가 함께 향상되었으며, 이는 재방문 의도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연구는 통합형 서비스 경험이 고객 충성도를 높이는 핵심 요인임을 보여준다.
안진호 신소재공학부 머스트잇 토토 - Stabilized negative capacitance for near-theoretical efficiency and high reliability in charge trap flash memory (이론적 효율에 근접한 안정화된 음의 정전용량 기반 플래시 메모리 연구)
안진호 신소재공학부 머스트잇 토토의 논문이 SCI-E급 국제 학술지 『Materials Today Physics』(2024년 기준 IF 9.7)에 게재됐다. 연구팀은 음의 정전용량(negative capacitance)을 안정화한 플래시 메모리 구조를 개발해 높은 프로그래밍 효율과 신뢰성을 동시에 확보했다. HfO₂ 기반 층 사이에 초박막 Al₂O₃와 TiO₂ 층을 도입해 전하 이동과 에너지 분포를 제어했으며, 그 결과 내구성과 데이터 보존 특성이 크게 향상됐다. 이번 연구는 저전력·고효율 메모리 소자 구현에 기여할 수 있는 기반을 제시했다.
이준석 화학과·전대원 의과대학 내과학교실 교수 - LDI, A Lipid Droplet Inhibitor, Disrupts Lipid Accumulation and Modulates Hepatic Lipid Profiles in Fatty Liver (지질 방울 억제제를 통한 지방 축적 억제 및 간 지질 조절 연구)
이준석 화학과 교수와 전대원 의학과 교수의 논문이 SCI-E급 국제 학술지 『ADVANCED MATERIALS』(2024년 기준 IF 26.8)에 게재됐다. 연구팀은 지방간 질환의 주요 원인인 간세포 내 지질 축적을 억제하기 위해 ‘LDI(Lipid Droplet Inhibitor)’를 설계했다. 해당 소재는 나노 실리카 구조에 지질 분해 효소를 결합해 중성지방을 효과적으로 분해하고, 간세포 내 지질 형성과 염증 반응을 동시에 완화했다. 동물실험 결과, LDI 투여군은 지방 축적과 간 손상이 각각 80% 이상 감소했으며, 간 내 지질 조성도 정상 수준으로 회복됐다. 이번 연구는 대사성 지방간 질환 치료를 위한 새로운 나노소재 기반 접근법을 제시했다.
전병훈 자원환경공학과 머스트잇 토토 - Emerging approaches on biomass and water-based hydrogen production and downstream recovery pathways: a review on recent challenges and prospects (바이오매스·수소 기반 수소 생산 및 회수 공정의 최신 동향과 과제에 대한 고찰)
전병훈 자원환경공학과 머스트잇 토토의 논문이 SCI-E급 국제 학술지 『REVIEWS IN ENVIRONMENTAL SCIENCE AND BIO-TECHNOLOGY』(2024년 기준 IF 10.6)에 게재됐다. 연구팀은 바이오매스와 수계 자원을 활용한 수소 생산 기술의 현황과 과제를 종합적으로 검토했다. 전기화학적, 광촉매적, 생물학적 수소 생산 공정을 비교·분석하고, 에너지 효율 향상과 비용 절감을 위한 핵심 기술 발전 방향을 제시했다. 또한 인공지능 기반 자동화 및 정책적 지원이 향후 지속가능한 수소 경제 전환의 핵심이 될 것으로 평가했다.
차치환 의과대학 외과학교실 머스트잇 토토 - Long-term survival outcomes of male breast cancer: the propensity score matching analysis of nationwide registry database (남성 유방암의 장기 생존율 분석: 전국 등록 데이터를 활용한 성향점수 매칭 연구)
차치환 의과대학 외과학교실 머스트잇 토토의 논문이 SCI-E급 국제 학술지 『BREAST』(2024년 기준 IF 7.9)에 게재됐다. 연구팀은 한국유방암등록사업 데이터를 활용해 남성 유방암 환자의 장기 생존율과 여성 환자와의 차이를 비교 분석했다. 1981년부터 2014년까지의 환자 680명을 분석한 결과, 남성 환자의 10년 생존율은 여성보다 낮았으며, 사망 원인의 상당 부분이 암 이외의 질환과 관련된 것으로 나타났다. 이번 연구는 아시아 남성 유방암 환자의 장기 생존 결과를 대규모로 분석한 첫 사례 중 하나다.
허준호 의과대학 유전학교실 교수 - Ultrasensitive single-point mutation detection via digital counting of individual dCas9-DNA complexes (단일 분자 수준의 dCas9-DNA 복합체 계수를 통한 초민감 단일염기 돌연변이 검출 연구)
허준호 의과대학 유전학교실 머스트잇 토토의 논문이 SCI-E급 국제 학술지 『SENSORS AND ACTUATORS B-CHEMICAL』(2024년 기준 IF 7.7)에 게재됐다. 연구팀은 유전자 질환의 조기 진단을 위해 초미세 단일염기 돌연변이를 정밀하게 검출하는 새로운 기법을 개발했다. CRISPR/dCas9 시스템을 활용해 단일 분자 수준에서 돌연변이를 구별했으며, 임상적으로 중요한 EGFR과 KRAS 유전자 변이를 0.5% 수준까지 식별할 수 있었다. 이번 연구는 암 등 유전성 질환의 조기 진단을 위한 고감도 분자진단 기술 발전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현성협 관광학부 머스트잇 토토 - Effects of Flight Attendants' Mental Health Resulting From Emotion Regulation Among Coworkers on Flight Safety Attitudes: Moderating Effects of Behavioral Activation Systems (승무원의 감정조절이 정신건강과 항공 안전 태도에 미치는 영향 연구)
현성협 관광학부 머스트잇 토토의 논문이 SSCI급 국제 학술지 『International Journal of Tourism Research』(2024년 기준 IF 5.7)에 게재됐다. 연구팀은 항공 승무원의 감정 조절이 정신건강과 비행 안전 태도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분석했다. 국내 주요 공항에서 249명의 승무원을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 결과, 동료 간 감정 조절을 통해 형성되는 긍정적 심리 상태가 정신건강을 향상시키고, 이는 다시 안전 태도를 강화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개인의 행동 활성화 수준이 이러한 관계를 조절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확인됐다. 이번 연구는 항공 서비스 조직 내 심리적 요인이 안전 관리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적으로 규명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황환식 의과대학 가정의학교실 머스트잇 토토 - The risk of suicide mortality according to income dynamics assessed using health insurance premium data: A nationwide cohort study in Korea (건강보험료 데이터를 이용한 소득 변화와 자살 위험의 관계 분석)
황환식 의과대학 가정의학교실 머스트잇 토토의 논문이 SSCI급 국제 학술지 『SOCIAL SCIENCE & MEDICINE』(2024년 기준 IF 5.0)에 게재됐다. 연구팀은 국민건강보험공단 데이터베이스를 활용해 소득 수준과 소득 변동성이 자살 사망률에 미치는 영향을 9.2년간 추적 조사했다. 그 결과, 5년 이상 저소득 상태를 유지한 집단은 자살 위험이 48% 높았으며, 반대로 고소득 상태가 지속된 경우에는 자살 위험이 유의하게 낮았다. 또한 소득 변동성이 큰 경우에도 자살 위험이 높아지는 경향을 보였다. 이번 연구는 소득 불안정이 정신건강과 생명 위험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적으로 제시하며, 사회·경제적 취약계층을 위한 자살 예방 정책의 근거를 제시했다.

'한양위키' 키워드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