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18명의 교수가 산학협력단이 선정한 2025년 9월 2주차 우수논문 저자로 이름을 올렸다. 이번에 선정된 교수는 권일한 자원환경공학과 사설 토토사이트, 김기현 건설환경공학과 교수, 김용주 의과대학 교수, 김형준 화학과 교수, 류수락 의과대학 교수, 백운규 에너지공학과 교수, 선양국 에너지공학과 교수, 송태섭 에너지공학과 교수, 신동준 융합전자공학부 사설 토토사이트, 양승 의과대학 교수, 윤종승 신소재공학부 교수, 이준석 화학과 교수, 장진호 화학과 교수, 정해준 융합전자공학부 사설 토토사이트, 조용흠 원자력공학과 사설 토토사이트, 최윤수 의과대학 교수, 최효성 화학과 교수, 홍송남 융합전자공학부 사설 토토사이트다. (교수명 가나다순)

권일한 자원환경공학과 사설 토토사이트 - Zero-waste valorisation of rapeseed through integration of CO2-assisted pyrolysis and biochar-catalysed transesterification(CO₂ 보조 열분해와 바이오차 촉매 전이에스터화를 통한 유채 무폐기물 자원화) / The role of carbon dioxide in hydrocarbon conversion during catalytic pyrolysis of plastic mixture over Ni catalyst( 니켈 촉매 기반 플라스틱 혼합물 촉매 열분해에서 이산화탄소의 탄화수소 전환 역할)
권일한 자원환경공학과 사설 토토사이트의 논문이 SCI-E급 국제 학술지 『ENERGY CONVERSION AND MANAGEMENT』(2024년 기준 IF 10.9)에 게재됐다. 권 교수는 이번 연구에서 유채에서 기름을 추출한 뒤 남는 잔여물을 단순히 폐기하지 않고, 연료와 촉매로 다시 활용하는 무폐기물 자원화 방안을 제시했다. 특히 CO₂를 활용한 열분해와 바이오차 촉매 공정을 결합함으로써, 기존보다 효율적으로 바이오디젤을 생산할 수 있음을 보여줬다. 해당 연구는 농업 부산물을 에너지 자원으로 전환하는 새로운 모델을 제시했다는 점에서 의미가 깊다.
또한 권 교수는 SCI-E급 국제 학술지 『ENERGY』(2024년 기준 IF 9.4)에 플라스틱 혼합 폐기물의 촉매 열분해 과정에서 이산화탄소의 역할을 규명한 연구를 게재했다. 해당 연구에서 권 교수는 플라스틱 혼합 폐기물을 단순 소각이나 매립하는 대신 이산화탄소와 니켈 촉매를 활용해 합성가스와 같은 고부가가치 연료로 전환하는 방식을 제시했다. 특히 CO₂를 주입함으로써 촉매의 탄소 침적 문제를 억제하고, 수소와 일산화탄소 수율을 크게 높일 수 있음을 입증했다. 해당 성과는 플라스틱 폐기물 처리와 온실가스 활용을 동시에 해결할 수 있는 지속 가능한 에너지 전환 기술로 평가된다.

김기현 건설환경공학과 사설 토토사이트 - Unveiling an inverted S-scheme pathway in nickel oxide/titanium dioxide for enhanced photocatalytic oxidation of gaseous formaldehyde(니켈 산화물/이산화티타늄 기반 역 S-스킴 경로를 활용한 기체 포름알데히드 광촉매 산화 향상)
김기현 건설환경공학과 사설 토토사이트의 논문이 SCI-E급 국제 학술지 『COMPOSITES PART B-ENGINEERING』(2024년 기준 IF 14.2)에 게재됐다. 해당 학술지는 IF(Impact Factor, 최근 2년간 해당 저널 논문이 평균 몇 번 인용됐는지를 보여주는 지표) 기준으로 공학 및 재료 분야에서 각각 175개 저널 중 1위, 복합재료 분야 34개 저널 중 2위를 기록했으며, JCI(Journal Citation Indicator, 학문 분야 평균 대비 인용 성과를 보여주는 지표) 기준으로도 각각 175개 저널 중 1위, 35개 저널 중 1위에 오른 국제적 권위지이다.
이번 연구에서 김 교수는 니켈 산화물(NiO)과 이산화티타늄(TiO₂)을 결합한 새로운 형태의 역 S-스킴 광촉매 구조를 개발해, 공기 중 포름알데히드(FA)를 효과적으로 분해할 수 있음을 입증했다. 특히 해당 구조를 공기청정기 필터에 적용했을 때, 포름알데히드 완전 분해와 우수한 공기 정화 성능을 확인했다. 이 연구는 실내 유해가스 제거와 차세대 공기 정화 소재 개발에 기여할 수 있다는 점에서 귀추가 주목된다.

김용주·류수락·양승·최윤수 의과대학 교수 - Breastfeeding, Prepubertal Adiposity, and Development of Precocious Puberty(모유 수유, 사춘기 전 체지방, 그리고 성조숙증 발달)
김용주, 류수락, 양승, 그리고 최윤수 의과대학 교수의 논문이 SCI-E급 국제 학술지 『JAMA Network Open』(2024년 기준 IF 9.7)에 게재됐다. 해당 연구에서 연구팀은 전국 단위 건강보험 데이터베이스를 활용해 영아기 초기 수유 형태와 성조숙증 발병 위험 간의 연관성을 분석했다. 그 결과, 생후 4~6개월 동안 모유 수유를 받은 아동은 그렇지 않은 경우보다 성조숙증 발병 위험이 낮았으며, 이는 사춘기 전 체지방률을 매개로 한 결과임이 확인됐다. 해당 연구는 아동기의 영양 관리가 성장과 발달에 미치는 중요성을 보여줌으로써 성조숙증 예방 연구의 새로운 방향성을 제시한다는 점에서 의의를 찾을 수 있다.

김형준 화학과 사설 토토사이트 - Photon-Primed Organic Electrosynthesis Enabled by Oxidation of Photon-Induced Intermediates(광자 유도 중간체 산화를 통한 광기반유기 전기합성)
김형준 화학 교수의 논문이 SCI-E급 국제 학술지 『Journal of the American Chemical Society(JACS)』(2024년 기준 IF 15.6)에 게재됐다. 해당 연구에서 김 교수는 촉매 없이 빛과 전기를 결합해 기존에는 반응성이 낮았던 분자들을 효율적으로 활성화하는 새로운 합성 전략을 제시했다. 연구팀은 광화학적 여기로 생성된 중간체가 전기화학적 산화를 거쳐 강력한 친전자체로 전환되고, 이를 통해 약한 친핵체와도 반응할 수 있음을 입증했다. 이러한 성과는 전기화학 합성의 반응성 지평을 확장하는 데 기여한다는 점에서 의미가 깊다.

백운규·송태섭 에너지공학과 교수 - Elucidating mechanism of Se-induced lattice oxygen activation and structural stability in perovskite oxide for oxygen evolution catalysis(산소 발생 반응 촉매용 페로브스카이트 산화물에서 셀레늄 유도 격자 산소 활성화와 구조 안정성 규명)
백운규, 송태섭 에너지공학과 교수의 논문이 SCI-E급 국제 학술지 『Journal of Power Sources』(2024년 기준 IF 7.9)에 게재됐다. 해당 연구팀은 셀레늄(Se) 도핑을 통해 페로브스카이트 산화물의 전도성과 촉매 성능을 향상시키고, 격자 산소 활성화를 촉진하는 새로운 전략을 제시했다. 또한 전산 모사(DFT) 계산을 통해 안정성과 촉매 활성 증진의 기작을 규명하며, 차세대 산소 발생 반응(OER) 촉매 개발의 방향성을 제시했다는 점에서 이목이 집중된다.

선양국 에너지공학과 사설 토토사이트, 윤종승 신소재공학부 사설 토토사이트 - Zero-strain Mn-rich layered cathode for sustainable and high-energy next-generation batteries(차세대 고에너지 지속가능 전지를 위한 무변형 망간 풍부 층상 양극재)
선양국 에너지공학과 교수와 윤종승 신소재공학부 교수의 논문이 SCI-E급 국제 학술지 『Nature Energy』(2024년 기준 IF 60.1)에 게재됐다. 해당 학술지는 IF 기준 에너지·연료 분야 182개 저널 중 1위, 재료과학 분야 460개 저널 중 2위를 기록한 세계 최상위(상위 0.3% 이내) 학술지이다.
해당 연구에서 연구팀은 코발트·니켈 의존도를 낮추기 위해 망간을 기반으로 한 새로운 층상 양극재를 개발해, 고전압에서도 구조적 안정성과 높은 용량을 유지할 수 있음을 입증했다. 이러한 성과는 차세대 리튬이온 배터리의 지속가능성과 안정성을 동시에 확보할 수 있는 가능성을 보여준다는 점에서 학계의 주목을 받고 있다.

신동준 융합전자공학부 사설 토토사이트 - FedLSC: Improving Communication Efficiency and Robustness in Federated Learning With Stragglers and Adversaries (지연 학습자와 적대자 환경에서 연합학습의 통신 효율성과 강건성을 향상시키는 FedLSC)
신동준 융합전자공학부 사설 토토사이트의 논문이 SCI-E급 국제 학술지 『IEEE Transactions on Neural Networks and Learning Systems』(2024년 기준 IF 8.9)에 게재됐다. 이번 연구에서 신 사설 토토사이트는 연합학습 과정에서 발생하는 높은 통신 비용과 성능 저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새로운 프레임워크인 FedLSC를 제안했다. 특히 중요한 계층만 선별해 학습과 통신을 수행함으로써 효율성을 높이고, 지연 학습자와 적대적 환경에서도 안정적인 성능을 유지할 수 있음을 입증했다. 이 성과는 실제 연합학습 응용에서의 활용 가능성을 넓혔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이준석 화학과 사설 토토사이트 – Near-infrared long lifetime upconversion nanoparticles for ultrasensitive microRNA detection via time-gated luminescence resonance energy transfer(근적외선 장수명 업컨버전 나노입자를 활용한 시간분해 발광 에너지 전달 기반 초민감 마이크로RNA 검출)
이준석 화학과 사설 토토사이트의 논문이 SCI-E급 국제 학술지 『Nature Communications』(2024년 기준 IF 15.7)에 게재됐다. 이번 연구에서 이 사설 토토사이트는 근적외선(NIR) 장수명 발광 업컨버전 나노입자(L-TG-LRET)를 활용해 발광 수명을 기존보다 8배 이상 늘리고, 발광 강도를 유지하면서 민감도를 크게 향상시킬 수 있음을 입증했다. 이를 기반으로 한 바이오센싱 기법은 기존 방법보다 약 17.9배 높은 민감도로 microRNA 발현을 정량화할 수 있었으며, 특히 암 환자와 정상인을 구분하는 데 유효함이 확인됐다. 이 연구는 임상 진단 분야에서 저농도 microRNA 검출에 새로운 가능성을 보여준다는 점에서 학문적 의의가 크다.

장진호 화학과 사설 토토사이트 - Probing redoxable organic molecules in the transient near-electrode accumulated regime unveils insidious degradation(전극 근처 축적 영역에서의 산화환원 유기 분자의 잠재적 열화 규명)
장진호 화학과 교수의 논문이 SCI-E급 국제 학술지 『Journal of Materials Chemistry A』(2024년 기준 IF 9.5)에 게재됐다. 이번 연구에서 장 교수는 유기 레독스 흐름전지(RFBs)의 전해질 열화 과정을 실시간으로 관찰할 수 있는 새로운 전기화학적 분석법을 제시했다. 특히 주사 전기화학 현미경(SECM)의 기질 생성·수집 모드를 활용해 기존 방식보다 수천 배 민감하게 반응 속도를 측정할 수 있음을 입증했다. 이 연구는 차세대 대용량 에너지 저장 장치로 주목받는 레독스 흐름전지의 안정성과 성능 향상을 위한 중요한 단초를 제공한다는 점에서 의미가 깊다.

정해준 융합전자공학부 사설 토토사이트 - Spin-orbit coupling in van der Waals materials for optical vortex generation(광소용돌이빔 생성을 위한 반데르발스 물질 내 스핀-궤도 결합)
정해준 융합전자공학부 사설 토토사이트의 논문이 SCI-E급 국제 학술지 『Light: Science & Applications』(2024년 기준 IF 23.4)에 게재됐다. 해당 학술지는 IF 기준 광학 분야 125개 저널 중 4위, JCI 기준으로는 같은 분야 125개 저널 중 3위를 기록한 세계 최상위(상위 2~3% 이내) 학술지이다.
이번 연구에서 정 사설 토토사이트는 반데르발스(vdW) 물질을 활용해 나노구조 제작 없이도 광소용돌이빔(optical vortex beam)을 구현할 수 있는 방법을 제시했다. 특히 육각 보론 나이트라이드(hBN)와 이황화몰리브덴(MoS₂) 기반 결정 구조를 이용해 안정적이고 효율적인 소용돌이빔 발생이 가능함을 입증했다. 이 연구는 집적 포토닉스와 양자광학 등 다양한 분야에서 응용될 수 있는 차세대 광원 개발의 새로운 가능성을 보여준다.

조용흠 원자력공학과 사설 토토사이트 - Enhanced iodide sorption onto montmorillonite via interlayer ion-pairing with calcium(칼슘 기반 층간 이온쌍을 통한 몬모릴로나이트 요오드 흡착 강화)
조용흠 원자력공학과 사설 토토사이트의 논문이 SCI-E급 국제 학술지 『Journal of Hazardous Materials』(2024년 기준 IF 11.3)에 게재됐다. 이번 연구에서 조 사설 토토사이트는 방사성 폐기물 차폐재의 핵심 광물인 몬모릴로나이트와 요오드 간의 지화학적 상호작용을 규명하고, 칼슘과의 층간 이온쌍 형성이 요오드 흡착을 크게 향상시킨다는 사실을 밝혔다. 이러한 성과는 방사성 요오드의 거동 예측과 안전한 처분 전략 수립에 중요한 과학적 근거를 제공한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최효성 화학과 사설 토토사이트 - Strategic Structural Modification of Quinoxaline-Based D-A-Type Polymers via Tuning Electron-Withdrawing Substituents for Photovoltaic Applications(전자끌개 치환기 조절을 통한 퀴녹살린 기반의 D-A형 고분자의 광발전 응용을 위한 구조적 개질 전략)
최효성 화학과 교수의 논문이 SCI-E급 국제 학술지 『ACS Applied Materials & Interfaces』(2024년 기준 IF 8.2)에 게재됐다. 이번 연구에서 최 교수는 전자끌개 치환기를 조절해 고분자 태양전지의 성능을 높일 수 있는 방법을 제시했다. 연구 결과, 특정 구조 변화를 통해 전하 이동성과 광전 변환 효율이 크게 개선됐으며, 이는 차세대 유기 태양전지 소재 설계에 의미 있는 방향을 제시하는 데에 기여한다는 점에서 학문적 의의가 깊다.

홍송남 융합전자공학부 사설 토토사이트 - Blind Massive MIMO for Dense IoT Networks(고밀도 사물인터넷 네트워크를 위한 블라인드 대규모 MIMO)
홍송남 융합전자공학부 사설 토토사이트의 논문이 SCI-E급 국제 학술지 『IEEE Internet of Things Journal』(2024년 기준 IF 8.9)에 게재됐다. 이번 연구에서 홍 교수는 대규모 사물인터넷 환경에서 발생하는 통신 효율 저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새로운 MIMO(다중 입출력) 기법을 제안했다. 특히 채널 상태 정보를 별도로 요구하지 않는 블라인드 MIMO 방식을 통해, 초저지연 통신과 에너지 효율성을 동시에 달성할 수 있음을 입증했다. 이 연구 성과는 앞으로 초연결 사회에서의 안정적이고 효율적인 IoT 네트워크 구현에 기여할 수 있다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
관련기사
- 대기오염 분야 혁신을 이끄는 김기현 사설 토토사이트
- 크로스 필드 분야 세계 최상위 토토사이트 무료거부, 에너지공학과 백운규 교수
- 한양대 선양국 교수, 혁신적 고망간 무응력 양극 소재 개발...‘네이처 토토사이트 대도시’게재
- 갤럭시 토토사이트 최효성 교수팀, 차세대 미케노발광 햅틱 센서 개발... 공액 고분자 쉘을 활용한 고해상도 센싱 전략 제시
- "키 크는 영양제보다 차라리 운동을 해라"... 양승 토토사이트
- 이준석 화학과 교수, EBS 다큐프라임 '생각보다 화학' 1,2부 프레젠터로 참여 < 교수 <
- 토토사이트 정해준 교수, 초박막 메타렌즈 AI 이미징 시스템 개발... CES 혁신상 수상 < 수상
- 한양대 최효성 교수, 스트레스를 빛으로 변환하는 미케노토토사이트 공지 플랫폼 혁신... 밝기 증대 및 실용적 적용 가능성 제시
- 토토사이트 케이 벳 한양대 2025년 9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