차세대 반도체로 주목받는 '뉴로모픽 반도체' 구현
다양한 산업 분야로 확대 응용 기대
한양대학교와 단국대학교 연구진이 빛을 활용해 인간 뇌처럼 학습하는 차세대 AI 반도체(뉴로모픽 반도체) 개발에 성공했다. 한양대 유호천·오세용 교수팀과 단국대 최준환 화학공학과 교수는 이 종이처럼 얇은 기판에서도 동작하는 '광(光) 신호 기반 뉴로모픽 반도체'를 구현했다고 6일 밝혔다.
이번에 개발된 뉴로모픽 반도체는 사실상 뇌 신경망 구조를 모방해 설계된 것으로, 기존 전기 신호 대신 빛을 활용해 데이터 처리 및 학습 기능을 동시에 구현하는 것이 특징이다. 연산장치(CPU)와 메모리를 하나의 칩 내에 통합, 전력 소모를 크게 줄이면서도 다량의 데이터를 빠르게 처리할 수 있어 차세대 반도체로 주목받고 있다. 연구팀은 트랜지스터 소자에 이중 절연막 구조와 고분자 소재를 적용, 빛에 반응해 생성된 전하를 포획하고 저장하는 기술을 적용했다. 기체 상태의 상온 공정으로 저온 제작 공정을 가능하게 했으며, 종이 명함처럼 휘는 기판에도 구현할 수 있도록 했다.
이번 성과는 저전력·고효율 신호 처리 및 학습 소자를 한층 발전시켰다는 점에서 웨어러블 기기, AI 센서, 보안 플랫폼 등 다양한 산업 분야로 확대 응용이 기대된다. 이 연구 결과는 전기전자공학 분야 상위 2% 국제 저널 'npj Flexible Electronics'(2024년 IF=15.5)에 올 7월 온라인으로 게재됐다.
관련기사
- 뮤직 토토사이트-이엘피, 산화물 TFT 기반 플렉시블 마이크로 LED 개발
- hulk 토토사이트 김두리 교수팀, 반도체 미세결함 잡아내는 초고해상도 광학 현미경 기술 개발
- 토토사이트 펫·부산대·동의대 공동연구팀, 3차원 인공 상어비늘 구현한 다중 감응 스마트 소재 개발 <
- 파주 토토사이트 유호천 교수팀, 가우시안·시그모이드 활성화함수 전환 트랜지스터 개발... AI 강화학습 성능 향상 기대
- 칼리토토-POSTECH 공동연구팀, 자외선 선택형 고성능 유기 광검출기 개발 < 주요
- 위정재 더블유 토토 연구팀, 황 기반 초소형 소프트 로봇 세계 최초
- 융합전자공학부 유호천 레드불토토 연구팀, 고잡음 기반 진성 난수 발생 트랜지스터 소자
- 토토사이트 db 해킹 유호천 교수,‘유기 나노와이어 기반 광 시냅스 반도체 소자’개발... 뉴로모픽 바이오센서·헬스케어 모니터링 응용
연관링크
연관링크
정다현 커뮤니케이터
ekgus211@hanyang.ac.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