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월 12일 자 「[단독] "한국 다신 안가" 가이드에 욕설 들은 노인, 中SNS 난리 [영상]」 기사

10월 12일 자 <중앙일보>는 가이드와 관광객이 쇼핑 문제로 갈등하는 장면이 생생하게 담겨 있는 중국 SNS 더우인 영상이 화제가 됐음을 보도했다. 방한 외국인이 쇼핑 강매로 갈등을 빚는 '덤핑 관광'의 사례이다.
문체부는 9월 ‘중국인의 K-관광을 전면 업그레이드하겠다’고 발표했다. 저가 관광 예방, 무자격 관광통역안내사 단속, 중국전담여행사 업무 실태 점검 같은 내용이 포함됐다. 그러나 정부의 관광정책이 홍보용 이벤트에 쏠렸다는 지적을 피하긴 어려워 보인다. 9월 5일 문체부가 발표한 2024년 관광 분야 예산안을 보면, ‘2024 한국방문의해 사업’ 증액이 가장 눈에 띈다. 외래 관광객 여행 상품에 쇼핑이 지나치게 많아 문제인 지금, 정부는 쇼핑 관광을 더 키우겠다는 입장이다.
관광 현장은 정부가 홍보용 이벤트에만 매달리지 말고 적극적으로 단속에 나서길 주문한다. 관광통역안내사 C씨는 “중국인 덤핑 관광 단체는 자격증 없는 중국 교포가 안내를 맡고 한국인 관광통역안내사를 ‘시팅 가이드(Sitting Guide)’로 데리고 다니는 경우가 많다”며 “베트남 단체 관광도 베트남 불법 체류자를 가이드로 쓰는 경우가 흔하다”고 말했다.
시팅 가이드는 이름 그대로 ‘앉아 있는’ 유자격 가이드를 말한다. 관광진흥법에 따라 외국 단체 관광객은 반드시 자격증이 있는 관광통역안내사의 안내를 받아야 한다. 이때 여행사가 쓰는 꼼수가 시팅 가이드다. 쇼핑 실적이 중요한 여행사는 쇼핑 유도 기술이 능한 현지인 가이드에 안내를 맡기고, 시팅 가이드를 단속 대비용으로 데리고만 다닌다. 드라이빙 가이드도 불법이 많다. 최근 구인·구직 사이트에 외국인 개별여행객을 상대하는 ‘드라이빙 가이드’ 채용 공고가 속속 올라오는데, 개인 차량으로 가이드가 운전까지 하는 것은 엄연한 불법 행위다.
이에 이훈 관광학부 교수는 “큰 사고가 터지기 전에 중국 관광 시장의 문제를 정부가 정확히 파악하고 데이터도 확보해야 한다”며 “중국 소비자가 양질의 상품을 선택하도록 기준을 제시하는 것도 중요하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