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월 8일자 「'타는 목마름으로' 독재에 저항한 김지하 시인 영면하다」기사

5월 8일자 <서울신문>은 지난 8일 '오적', '타는 목마름으로' 등의 작품으로 1970~80년대 독재 정권에 저항한 김지하 시인이 1년여 동안의 투병 끝에 별세했음을 보도했다.

김 시인은 1941년 전남 목포에서 태어나 1969년에 '황톳길' 등 5편을 발표하며 정식 등단했으며, 이듬해 권력 상층부의 부정부패상을 날카롭게 풍자한 담시(자유로운 형식의 짧은 서사시) '오적'을 발표했다. 유신 독재에 저항하는 민주화의 상징이자 민족문학 진영의 대표 문인으로 주목받은 김 시인은 1974년에 민청학련 사건을 배후 조종한 혐의로 수감되었다가 6년 만에 석방되었다. 이후 1981년에는 국제시인회 '위대한 시인상' 등을 수상하는 영예를 안았다. 하지만 1991년에 운동권의 연쇄분신을 비판하는 칼럼 '죽음의 굿판을 걷어치우라'를 게재해 진보 진영에서 '변절자'라는 비판을 받기도 했다.

한양대학교 국어국문학과 유성호 교수는 김 시인에 대해 “군부 독재 시절 해외에서 탄원 운동을 할 만큼 세계적인 저항 시인으로 추앙받으며 수많은 참여 시인의 발원지가 된 분”이라며 “이후 전통 사상과 동학을 접목해 주창한 새로운 생명 운동은 앞으로 적절한 평가와 연구가 이뤄져야 할 부분”이라고 말했다. 이어 “1990년대 이후에는 안타까운 편견과 비난도 없지 않았지만 시인의 역사적 위상에서는 비본질적인 부분”이라고 덧붙였다.

 

관련기사

키워드

토토사이트 포에버'한양위키' 키워드 보기 #유성호 #국어국문학과
쪽티비 스포츠토토 ERICA, 경기도 RISE 사업 선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