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월 29일 자 「선거는 괴벨스를 원한다」 기사

이창민 경영학부 교수는 8월 29일 자 <경향신문>에 칼럼 ‘선거는 괴벨스를 원한다’를 기고했다.

윤석열 대통령의 이동관 방송통신위원장 임명 강행에 대해 ‘가짜뉴스 척결과 언론 공정화의 적임자’라는 옹호와 ‘내년 총선을 위한 언론장악 노림수’라는 비판이 공존한다. 이러한 정치논리는 제쳐두고 이 위원장이 내세우는 “가짜뉴스 척결과 언론 공정화”라는 명분은 그럴듯한가? 이 교수는 아니라고 답했다. 그는 “가장 큰 문제는 이 위원장 스스로 언급한 '공정한 미디어 생태계'의 난센스”라고 말했다.

이 교수는 “한국 언론은 편향은 존재한다”라며 “그의 ‘공산당 기관지’ 발언은 화살이 진보 언론을 향해 있음을 보여주는 데 반해 보수 언론은 중립적·합리적이라고 생각하는, 전혀 사실에 부합하지 않는 ‘유체이탈 화법’이다”라고 말했다. 그는 또한 “더욱 큰 문제는 가짜뉴스의 정점인 ‘사실의 왜곡’에 대한 태도이다”라며 “기존 진보 언론도 사실의 왜곡은 반성해야 한다. 하지만 윤석열 정권은 오히려 보수 유튜버를 요직에 기용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 교수는 마지막으로 “이 위원장은 언론의 편향이 왜 생기는가에 대한 관점이 없다”고 지적했다. 수요의 측면에서 매출의 대부분이 광고인 국내 언론사는 광고주인 재벌과 재벌 총수로부터 자유로울 수 없다. 이는 단순히 총수 개인을 언론이 도와주는 문제뿐만 아니라 정치·경제 현안에 대한 언론의 관점이 재벌이라는 경제권력의 보수적 선호에 수렴하는 결과가 나온다.

공급 측면에서, 언론사의 소유구조는 언론의 편향을 만든다. 예를 들어 언론사 사주, 그리고 언론사 사주가 인사권을 행사하는 데스크의 정치적 성향이 논조와 기사에 반영된다는 것이다. 이 교수는 “결국 언론사의 지배주주가 경제권력 또는 정치권력이라면 각각 그에 따르는 편향이 생기고 장단점이 있기 마련이다”라며 “공영방송의 지배주주가 정부여서 친정부적이 된다고 해서 민영화하는 것이 공정한 미디어 생태계 구축이라고 여기는 것은 단선적인 발상이다”라고 말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토토사이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