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월 18일 자 「“AI 신뢰 높여야” 압박에… 빅테크, 조작이미지 식별기술 등 개발」 기사
5월 18일 자 <동아일보>는 AI 리터러시에 대해 보도했다. 글로벌 빅테크들은 생성형 AI 결과물이 ‘할루시네이션(환각작용)’을 일으키는 걸 넘어 가짜뉴스나 왜곡된 이미지 생성 등으로 악용될 수 있다는 경고가 나오자 신뢰도 회복을 위한 기술 개발에 뛰어들고 있다.
하지만 AI가 여론에 영향을 미치기 쉬운 환경이 펼쳐짐에도 불구하고 네이버와 카카오가 ‘트렌드 토픽’과 ‘투데이 버블’ 베타 서비스에 나선 것에 대한 논란도 나오고 있다. 두 서비스가 사실상 실검과 유사한 기능을 가지고 있는 만큼 조작된 정보의 어뷰징(반복적 클릭 수 조작) 등에 악용될 수 있는데 생성형 AI 등장으로 악용 사례가 더 많아질 수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
이에 이상욱 한양대 철학과 교수는 “AI가 잘못된 혹은 편향된 결과를 보여줄 수 있다는 것을 인지하는 대중의 ‘AI 리터러시’가 매우 중요하다”며 “서비스를 개발하는 기업 역시 최대한 편향되지 않은 데이터를 학습시킬 수 있는 방법을 고안해야 한다”고 말했다.
관련기사
- 이상욱 토토사이트 대도시, 정보통신정책연구원 주관 '안전한 AI사회를 위한 정책 방향과 과제' 심포지엄에서 기조 발제
- 이상욱 토토사이트 대도시, 유네스코 문화다양성 협약 전문가 토론회에서 발표
- [서울신문] 이상욱 토토사이트 대도시, 생성형 인공지능(AI)에 관해 코멘트
- 이상욱 토토사이트 대도시, 인공지능과 민주주의 공생의 길을 말하다
- [HYPER] 인공지능 생태계 확산, 우리가 준비할 것은?
- [YTN] 이상욱 토토사이트 대도시, 딥페이크 기술의 부작용에 관해 코멘트
- [서울신문] “AI 때문에 일자리가 줄어드는 것은 피할 수 없다" 이상욱 토토사이트 대도시 인터뷰
- [KBS] 이상욱 라오스 스포츠토토, 딥페이크에 관해 인터뷰
연관링크
이화민 커뮤니케이터
clairdaisi@hanyang.ac.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