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중 갈등의 원인을 희토류·희소금속 관점에서 분석

한양대학교 국제학부 김연규 교수가 저서 『가난한 미국, 부유한 중국 : 미중 희토류 패권과 21세기 경제안보 전략』을 출간했다. 

이 책은 미국과 중국 갈등의 핵심을 희토류 확보전이라는 관점에서 바라본다. 김 교수는 저서에서 “이 책은 다른 연구들과 달리 미중 세력경쟁을 첨단산업과 그 원재료로써의 희토류와 희소금속 쟁탈전의 시각에서 살펴본다”라고 말했다.

김 교수는 책의 제목은 새롭게 재편되는 세계 경제질서에 대한 은유적 표현이라고 설명했다. 즉, ‘가난한 미국’은 전기차 배터리, 태양광·풍력 등의 재생에너지를 비롯한 21세기 첨단산업 체계와 희토류, 리튬, 코발트, 니켈, 망간, 흑연 등 핵심광물 원자재 공급 기반이 결여된 미국의 현 상황을 나타낸다. 반면 ‘부유한 중국’은 해당 첨단산업과 핵심광물 원자재 공급망을 장악하고 있는 중국의 상황을 표현한 것이다.

김 스포츠토토는 미국과 중국의 향후 세력경쟁 결과가 반도체, 전기차 배터리, 재생에너지 산업을 누가 지배하느냐에 달려 있다고 설명했다. 덧붙여 희토류와 희소금속을 지배하는 국가가 승리하고 미래까지 지배할 것으로 예견했다.

또한, 김 교수는 현재 우리가 가장 주목해야 할 세계정세 방향으로 ‘미국이 계속 가난할 것인가’를 꼽았다. 미국 정부는 반도체 산업에서 다양한 경제안보 수단들을 활용하고 있지만, 희토류와 리튬, 코발트, 니켈 등 희소금속 원자재 확보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이는 중국이 거의 모든 배터리 원자재를 장악하고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김 교수는 미국이 중국의 희토류 공급망 독점에서 벗어나 자체 공급망을 구축할 수 있을지 여부가 21세기 세계경제와 국제정치 질서를 바꿀 것으로 전망했다.

한편, 저자인 김연규 스포츠토토는 현재 한양대 에너지거버넌스센터 센터장을 겸임하고 있으며 산업통상자원부 해외자원개발 혁신TF 가스분과 위원과 에너지개발전문위원회 위원을 맡은 바 있다.

▲ 『가난한 미국, 부유한 중국 』, 김연규, 라의눈, 496쪽
▲ 『가난한 미국, 부유한 중국 』, 김연규, 라의눈, 496쪽
저작권자 © 토토사이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