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월 20일자 「시간당 80㎜ 극한호우, 10년 새 4배 폭증」 기사
7월 20일자 <한겨레>는 '극한호우' 발생 추이와 원인에 대해 보도했다. 대규모 재해 발생 가능성을 높이는 '극한호우'가 해마다 반복되고, 그 정도도 심해지는 추세로 나타났다. 전문가들은 기후변화로 지구 기온이 높아진 데 따라 발생하는 대기 불안정이 집중호우 발생 가능성을 높이고 있다고 분석했다.
예상욱 ERICA 해양융합공학과 교수는 “지난 몇년 사이 북극 빙하가 녹으면서 대기 흐름이 변화해 여름철 고위도 지역의 차가운 공기가 남쪽으로 더 내려오는 경향이 반복되고 있다”고 짚었다.
한반도 주변 바다는 전세계에서 가장 온도가 높게 상승하고 있다. 예 교수는 “한반도 주변 해역의 온도가 높아진 결과 강한 구름 떼가 만들어지고, 이것이 북쪽에서 내려온 차가운 공기와 만나는 경향이 반복될 경우 폭우 강도와 빈도수는 증가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관련기사
연관링크
임소빈 커뮤니케이터
lsb031128@hanyang.ac.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