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월 12일 자 「정부는 소통 부재, 與는 전략 부재…“총선, 혁신 안하면 진다”’」 토토사이트 토토카페

김성수 정치외교학과 교수
김성수 정치외교학과 교수

10월 12일 자 <조선일보>는 국민의힘 김 후보가 서울 강서구청장 보궐선거에서 예상을 뛰어넘는 격차로 참패했음을 보도했다. 이에 국민의힘 안팎에서는 예상을 뛰어넘는 참패에 대해 “정부의 국정 기조에 대한 민심의 경고”라는 해석이 나왔다. 국민의힘 한 다선 의원은 “불과 1년 만에 이렇게 지지율이 역전된 것은 결국 대통령과 여당에 대한 경고”라고 말했다. 그는 “정부가 미워서 여당을 심판한 것”이라고 했다. 수도권의 국민의힘 한 의원도 “국정 운영에서 민생 경제보다 이념이 전면에 강조되다 보니 민심으로부터 외면받을 수밖에 없다”고 했다. 정부는 민생을 강조했지만 국민 입장에선 현재의 어려운 경제 상황을 타개할 수 있는 적극적 대안 제시와 노력이 미흡한 것으로 인식됐다.

‘보궐선거 원인 제공 시 후보를 내지 않는다’는 국민의힘 당규를 위배하면서까지 공천을 밀어붙인 대통령실과 여당 지도부 결정이 공감대를 얻지 못했다는 지적도 많다. 당 핵심 관계자는 “’조국 비리’ 관련 공무상 비밀 누설 혐의로 유죄를 받은 김 후보를 ‘공익제보자’라며 사면을 해줄 명분은 충분히 있었다”고 말했다. 그러나 김 후보자 사면 이후 공천에 이르는 과정에서 사면과 공천에 대한 국민적 설명이 부족했던 것 아니냐는 지적도 나왔다.

명분을 잃다 보니 선거 전략도 부재했다. 총선을 앞두고 있더라도 하나의 구청장 선거인데, 민주당의 정권 심판 전략에 말려 국민의힘까지 당력을 총동원하면서 판이 커졌다는 것이다. 윤상현 국민의힘 의원은 “이렇게까지 판을 키울 선거는 아니었다”라고 했다. 김재원 최고위원 역시 “후보 인지도로 선거운동 하는 게 나았을 텐데 초기부터 중앙당이 개입을 하니까 당 대 당 투표로 가버렸다”고 했다. 한 비윤계 의원은 “구청장 선거에 지나치게 중앙 정치 논리를 끌어들여 패배를 자초했다”고 했다.

이에 김성수 정치외교학과 교수는 “지금 같은 당과 대통령실의 수직적 관계로는 총선이 어렵지 않겠느냐”며 “치열한 변화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토토사이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