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건복지부의 의뢰로 시작 ... 정책 수립의 근거를 제시할 것
지난 5일 박 교수는 ‘2020 합천비핵평화대회’에서 ‘피폭 1·2·3세대 코호트 구축 및 유전체 분석 연구’ 계획을 발표했다. 이번 연구는 원폭 피폭 1~3세대 2700명을 대상으로 5년간 설문조사, 가계도 구축, 건강검진 등을 하는 방식으로 진행되며 세대간 유전성에 초점을 맞춘다. 또한 국민건강보험공단과 암 등록자료, 사망자료 등과 연계해 그 결과를 일반 인구와 비교하는 유전체 분석도 시행할 예정이다. 첫 해인 올해는 300명을 조사하고, 이 중 60명(20가족)은 유전체 검사를 진행한다. 연구 결과는 2024년 말 나올 예정이다.
박 교수는 여러 언론사와의 인터뷰를 통해 “이번 연구는 방사능이 인체와 질병 발생에 미치는 영향의 인과성을 파악하고 유전체 분석을 통해 자녀 등에 미치는 유전적 영향을 파악하기 위한 것 “이라면서, “원폭 피해의 세대 간 연관성을 분석해 원폭 피해자와 그 자손의 생애와 세대에 걸친 보건학적· 의학적 관리 대책과 정책 수립의 근거를 제시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관련기사
한양커뮤니케이터H
hywiki@hanyang.ac.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