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르웨이어로 된 오리지널 작품을 번역하였다는 데 큰 의의

한양대학교 연극영화학과 김미혜 명예교수가 헨리크 토토사이트 운영 썰(이하 토토사이트 운영 썰)의 희곡 전 작품을 번역한 『완역 헨리크 토토사이트 운영 썰 희곡 전집』을 출간했다. 김 교수는 2010년에 토토사이트 운영 썰 평전 <모던 연극의 초석 헨리크 토토사이트 운영 썰>을 출간한 바 있으며 국내에서 토토사이트 운영 썰을 논할 때에는 김 교수를 빼놓을 수 없을 정도로 이름난 토토사이트 운영 썰 전문가로 꼽힌다.
입센은 1828년에 태어나 1906년에 서거할 때까지 모두 25편의 희곡 작품을 남겼지만 단막시극 <전사의 무덤(Kœmpehøjend)>과 3막의 동화희극 <한여름 밤(Sancthansnatten)>은 자신의 전집에 넣는 것을 꺼렸기에 이번 전집에도 이 두 작품을 제외한 23편의 작품이 수록되었다.
이번 전집의 목차는 1권 <카틸리나, 솔하우그에서의 잔치, 외스테로트의 잉게르 부인>, 2권 <헬겔란의 영웅들, 사랑의 희극>, 3권 <왕위 주장자들, 브란>, 4권 <페르 귄트, 청년동맹>, 5권 <황제와 갈릴리 사람>, 6권 <사회의 기둥들, 인형의 집>, 7권 <유령, 민중의 적, 들오리>, 8권 <로스메르스홀름, 바다에서 온 여인>, 9권 <헤다 가블레르, 대건축가 솔네스>, 10권 <어린 에욜프, 욘 가브리엘 보르크만, 우리 죽어 깨어날 때>로 구성되어 있다. 전집에 수록된 작품은 총 22 작품이지만, <황제와 갈릴리 사람>는 2부로 나뉘어있고 각기 다른 제목이 붙어있어 두 편으로 보면 모두 23 작품이다.
김 교수는 2007년부터 입센 작품에 대한 번역을 시작했으며 전집이 출간된 올해는 그가 번역을 시작한 지 15년째 되는 해이다. 그는 입센의 작품을 번역하면서 노르웨이어를 공부하였다. 이번 전집은 시중에 나와 있는 여타 입센 번역 작품과 달리 노르웨이어로 된 입센의 오리지널 작품을 번역하였다는 데 큰 의의가 있다. 그는 영어와 독일어에 능통하여 이전 저서인 <모던 연구의 초석, 헨리크 입센>을 집필할 때는 영어와 독일어로 된 입센의 작품을 참조하였으나 입센의 작품을 원어로 읽고 싶어 노르웨이어 공부를 시작, 마침내 노르웨이에서 구입해 온 입센의 오리지널 작품을 번역하게 되었다고 한다.

김 교수는 토토사이트 운영 썰과의 인연에 대해 그가 한국연극학회 회장이었던 2006년, 베를린에서 열린 토토사이트 운영 썰 서거 100주년 국제학술대회에서 토토사이트 운영 썰의 작품을 오페라, 뮤지컬 등으로 바꿔서 올리는 세계 각국의 사례 발표를 보고서 한국으로 돌아와 토토사이트 운영 썰에 대한 책을 쓰기로 마음먹게 되었다고 전했다. 그 이후로 노르웨이를 몇 차례 다녀오며 저서 <모던 연구의 초석, 헨리크 토토사이트 운영 썰>(2010, 연극과인간)을 집필했으며 토토사이트 운영 썰의 <헤다 가블레르>, <사회의 기둥들>, <유령>, <왕위 주장자들>을 번역하여 무대에 올리고 드라마투르그로도 참여하면서 토토사이트 운영 썰 전문가로의 입지를 굳히게 되었다.
김 교수는 평소 입센에 대한 생각으로, 해외에서 입센을 중시하는 것을 보여주는 사례들을 언급하며 “물론 2500년 동안 희곡을 써온 나라들과 100년밖에 안 되는 나라를 비교하기는 어렵지만, 입센은 우리가 모던으로 오는데 반드시 거쳐야 할 산”이라는 생각을 밝혔다. 또한 번역 전집을 집필한 계기로는 “셰익스피어의 작품들은 전집은 여럿 나와 있는데 입센 역시 우리가 꼭 알아야 되는 극작가라는 생각으로 한국어 번역 전집을 내기로 결심하였다”고 말했다. 이어 “한국의 극작가들, 그리고 극작가 지망생들이 입센의 드라마에서 배우는 바가 있기를, 또 그의 알려지지 않은 여러 작품들이 무대화됨으로써 한국 무대의 레퍼토리가 다양해지기를 소망한다”고 덧붙였다.
한편, 헨리크 입센은 1850년 필명으로 발표된 <카틸리나>로 극작가로 데뷔했으며 ‘3막의 극적 에필로그’라는 부제가 붙은 <우리 죽어 깨어날 때>(1899)까지 반세기에 걸쳐 1편의 단막극을 포함하여 모두 25편의 희곡을 썼다. 이후 자의적 망명으로 1864년부터 27년간 이탈리아와 독일에 머무르며 그 기간 동안 노르웨이의 지방성을 극복해 유럽은 물론 세계적인 작가로 성장했다.
그는 조국이 스웨덴의 지배하에 있었고 민도가 낮았던 당시에 신이 자신에게 부과한 소명이 “바로 민중을 일깨우고 크게 생각하도록 가르치는 것”이라 굳게 믿었고 그 소명을 실천하기 위해 작가로서 평생 투쟁했다. 입센의 대표작들로는 <페르 귄트>(1867), <인형의 집>, <유령>(1881), <민중의 적>(1882) 등이 거명되고 있으며 어느 작품에서든 한 개인의 자유와 그에 따른 책임, 삶에서의 모토와 원칙을 고수하려는 치열한 투쟁을 읽어낼 수 있다. 입센은 현재까지도 노르웨이가 가장 자랑하는 시인으로 자리하고 있다.
역자인 김 교수는 고려대학교 영문학과를 졸업하고, 오스트리아 빈대학교에서 연극학 전공으로 박사학위(Ph.D.)를 받았다. 국제극예술협회(I.T.I.) 한국본부 사무국장, 한국연극학회 회장, 예술경영지원센터 이사장 등을 역임했으며 현재 한양대학교 명예교수로 재직 중이다. <괴테 페스티벌>(예술의 전당, 1999), <테러리스트 햄릿>(국립극단, 2007), <마라/사드>(서울시극단, 2009), <우어 파우스트>(명동예술국장, 2011), <아마데우스>(명동예술극장, 2011), <사회의 기둥들>(LG아트센터, 2014) 등의 드라마투르크 작업, <해변의 카프카>(2013)의 연출을 했다.
저서로는 <20세기 전반기 유럽의 연출가들>(공저, 2001), <20세기의 위대한 연극인들>(2005), <(이론과 실제: 텍스트에서 공연까지) 대본분석>(2008), <(모던 연극의 초석) 헨리크 토토사이트 운영 썰>(2010), <드라마투르기적 연출의 실제>(2014), <브로드웨이를 넘어>(2018) 등이 있으며 옮긴 책으로는 <아방가르드 연극의 흐름>(1997), <20세기 연극>(2004), <부조리극>(2005), <고스트 라이트>(2012), <미국의 아방가르드 연극>(2015) 등과 외에도 브레히트를 비롯한 여러 극작가들의 희곡을 번역하여 한국 연극의 레퍼토리를 다변화하는 데에 기여했다.
또한 영어권의 대학과 도서관 배포 목적으로 한국에서의 서양연극 수용에 대한 'Acts and Scenes(2013)'를 영어로 출간하였고, 총 8권의 한국문학작품들(시, 소설, 희곡 등)을 독일어로 번역하여 독일 현지에서 출간하였다. 헨리크 입센의 희곡들인 <헤다 가블레르>(2012, 명동예술극장), <사회의 기둥들>(2014, LG 아트센터), <왕위주장자들>(2017, 서울시극단)이 김 교수의 현대적 번역으로 처음 한국 관객과 만난 바 있다.